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방송·연예

카카오M, 모바일 플랫폼 본격 진출…"3년간 3000억 투자해 콘텐츠 제작"

기사등록 : 2020-07-14 11:2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김성수 대표 "엔터사업 패러다임 변화 이끌 것"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카카오M이 드라마·영화, 예능을 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디지털 플랫폼 시장에 뛰어든다.

김성수 카카오M은 대표는 1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블루스퀘어 카오스홀에서 열린 첫 미디어데이 사업 설명회에서 "향후 3년간 3000억원을 투자해 자체 제작 콘텐츠를 선보이며 엔터테인먼트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카카오M은 '콘텐츠로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음악, 드라마/영화, 디지털 등 다양한 영역의 오리지널 콘텐츠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종합 콘텐츠 기업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김성수 카카오엠 대표 [사진=카카오M] 2020.07.14 alice09@newspim.com

특히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주체인 '사람', 즉 탤런트(Talent)에 집중해 각 분야에서 최고의 재능을 가진 톱 탤런트들과 함께 새로운 가치를 만들며 콘텐츠 비즈니스의 진화와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김 대표는 "디지털 채널에 대한 도전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콘텐츠를 더 잘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의 사업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2019년에 카카오M에 합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예기획사 7개를 인수, 영화 제작사 2개, 드라마사 4개, 공연제작사도 인수했다. 커머스 회사 인수와 설립, 음악 레이블 설립 등 1년 반 사이에 많은 기업인수합병(M&A)이 있었다"며 설립 후 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김 대표는 "좋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문화를 만들고, 지원해줄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1년 반 사이에 유능한 사람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최고의 탤런트, 사람들을 모으는 작업들을 해왔다. 카카오M은 톱 탤런트 그룹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카카오M은 많은 자회사를 거닐고 있다. 음악 레이블의 경우 플레이엠, 크래커, 이담, 스타쉽, 플렉스엠, 325E&C엔터테인먼트까지. 또 K팝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전문 미디어 원더케이(1theK)까지 운영 중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김성수 카카오엠 대표 [사진=카카오M] 2020.07.14 alice09@newspim.com

여기에 올해 인수한 쇼노트를 포함해 라이브 엔터테인먼트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M은 2023년까지 3년 동안 총 3000억원을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에 김 대표는 "TV프로그램에 버금가는 투자, 배우, 스토리, 원천 IP를 근간으로 디지털 콘텐츠에 도전하고자 한다. 3년간 누적 3000억의 제작비가 투입 될 것 같다. 시청자들은 매일 새로운 콘텐츠를 70분 이상 오리지널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고 소개했다.

이어 "저희 투자 규모는 음악이 5만4000곡, 영화 드라마는 연간 15편, 디지털은 향후 3년간 누적 드라마‧예능을 포함해 240개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수 대표는 아날로그 TV플랫폼으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로 방향을 틀었다. 모바일로 방향을 틀면서 3000억을 투자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나서다 보니, 수익구조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김 대표는 "이제는 방송 채널에 많은 콘텐츠를 송출해도 보는 사람이 많이 없다. 시청률이라는 규모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TV를 대안할 수 있는 채널이 나왔는데, 아날로그 채널을 담당했던 저 스스로도 고민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김성수 카카오엠 대표 [사진=카카오M] 2020.07.14 alice09@newspim.com

이어 "디지털에 대한 대책은 사실 없다. 해결이 OTT로 넘어갔는데, 직접적으로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디지털 콘텐츠 제작 이유를 밝혔다.

또 "수익 모델이 없는 비즈니스는 지속되기 어렵다. 기본적으로 광고, 수신료 모델을 다 가져가려고 한다. 광고‧수신료로 인해 40~50%프로의 수익을 돌려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저희는 좋은 감독, 배우, 작가들이 투입되는 웰메이드 콘텐츠를 제작하기 때문에 국내 판매와 해외판매로 50%는 회수될 거라고 본다. 일정 부분 정상화되는 시점은 아마 2년쯤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MBC는 최근 카카오M과 MOU를 맺고 조인트벤처를 만들기로 했다. MBC는 드라마로 위기를 겪은 만큼, 이번 카카오M과의 MOU에 대한 이목이 쏠린 바 있다.

이에 김 대표는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제가 감히 MBC에 대해서 평가를 못하고, MBC 입장에서는 부가 사업에 대한 모델을 저희가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커머스 사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을 회사에 담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MBC가 이런 부분을 저희와 공유하고 싶어 하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MBC의 좋은 예능 IP, '나 혼자 산다' '놀면 뭐하니' 들의 스핀오프나 외전으로 새로운 사업 모델로 끌어낸다면, 수익모델을 검증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MBC와 스핀오프나 외전을 함께 같이 만들고 오리지널도 만들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성수 대표는 "콘텐츠 비즈니스의 진화와 혁신을 주도하며 엔터테인먼트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겠다"고 덧붙였다.

alice09@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