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그동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서 적극적이던 증권사들이 올해 들어 한 발 뺀 모양새다. 건전성 문제가 발생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증권사 '부동산 금융' 규제 강화를 예고하면서다.
실제 지난해부터 증권사 부동산 PF에 투자금 유입이 줄면서 한때 자금 경색 우려가 나왔다. 금융당국도 이런 위험성을 감지하고 증권사 부동산 PF 건전성을 위한 규정 개정안을 마련했다. 이에 맞춰 증권사들도 부동산 채무보증 비율을 단계적으로 줄이며 조절에 나서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부동산 PF 채무보증을 조정하고 있다. 메리츠증권의 지난 3월 기준 조정유동성비율은 82.73%로 증권사 가운데 가장 낮았다. 부동산 PF에서 주로 사용하는 채무보증이 커지면 유동성 비율이 낮아지는데, 금융당국은 조정유동성비율이 100% 미만으로 떨어진 증권사에 대한 관리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조정유동성비율은 기존 유동성자산을 유동성부채와 채무보증을 합산한 금액으로 나눈 것이다.
메리츠증권은 자금 경색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유상증자 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 상황이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올 상반기 재무구조 개선에 노력하면서 조정유동성 비율이 개선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부동산PF 규제가 내년까지 유예돼 인위적인 PF 채무보증 감축 없이 만기 상환에 따른 자연 감소분 만으로 규제 수준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의도 증권가 / 이형석 기자 leehs@ |
하나금융투자도 지난 5월말 기준 조정유동성비율을 110% 수준으로 맞추며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올해 초 실시한 증자와 함께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며 "향후에도 정책 및 경쟁사 비율을 참고해 지속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대형 증권사들은 조정유동성비율이 100%를 훨씬 웃돌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부동산 PF 단기자금 조달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보수적 운용을 하고 있다.
증권사들은 주로 부동산 시행사 대출채권을 담보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에 유동성을 공급하거나 신용공여를 제공하는 형태로 부동산PF 사업장에 채무보증을 한다.
실제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증권사 부동산 PF에 투자금 유입이 줄자, 만기가 짧은 PF 자산유동화증권에서 한때 문제가 발생했다. 증권사들은 부동산 PF 대출을 해주기 위해 PF 자산유동화증권을 팔아 만기 3개월 미만의 단기자금을 조달하는데, 만기가 되면 PF 자산유동화증권을 다시 발행해 차환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이 때 문제가 발생하면 증권사가 자체 자금으로 상환을 해야 하는 리스크가 생긴다.
이렇다 보니 올해 증권사의 부동산PF 자산유동화증권 발행 규모는 예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규제 강화와 코로나 19에 따른 경기 악화 우려에서다. 지난해 증권사들은 부동산PF 시행사의 대출 채권을 담보로 하는 ABCP와 전자단기사채(ABSTB)를 공격적으로 발행했다.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별 차이는 존재하지만 향후 부동산 PF의 규제에 따른 수익의 성장 둔화 우려는 여전히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부동산 PF 때문에 자금경색이 발생하면서 증권사발 유동성 리스크가 발생, 증권사들의 수익성에 타격을 줄수 있다고 우려했다 .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