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코로나로 심화된 자살위기, SNS상담으로 막아야"

기사등록 : 2020-07-23 10: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7월까지 상담건수 30만건 훌쩍 넘겨..부모와 갈등 상담 크게 증가

 

(사진 앞줄, 우측부터) 장은진 심리학회 부회장, 김미례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박인주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대표, 윤상현 의원, 조현섭 한국심리학회 회장, 하상훈 생명의 전화 원장,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뒷줄 우측부터) 윤정현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조재훈 스텔라재단 대표, 조성철 한국생명운동연대 상임대표, 서일환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 백중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 육성필 용문심리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현명호 중앙대 교수,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센터장, 박주선 생명의전화 이사, 이정숙 선진복지사회연구회 회장, 김은지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장. [생명존중시민회의 제공]

[서울=뉴스핌] 정태선 기자 =코로나 19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 우울감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자살예방을 위한 SNS 비대면 상담을 활성화하고 시스템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생명존중시민회의, 한국심리학회, 윤상현 국회의원, 한국생명운동연대 등이 공동주최한 '코로나 19, 자살예방을 위한 SNS 활용 상담 강화방안' 정책 세미나가 2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렸다.

80여명의 전문가와 시민들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서 박인주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대표는 "코로나 19 상황이 길어질 수 있는데, SNS비대면 상담을 활성화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은 "자살 사망자 수가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사망자수를 합친 것보다 3배 많지만, 예산은 30분의 1에 불과하다는지적에 국회가 할 일이 많다고 느낀다"며 "자살예방에서 자살대책으로 전환하는 데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하상훈 생명의 전화 원장은 "SOS생명 전화를 통한 위기상담건수는 지난 2011년부터 2019년말까지 7854건에 달하는데, 야간엔 예산부족 등으로 상담원 확보가 어렵다"면서 "상담전화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민관협력으로 통합·운영하는 전국단위 지역위기센터를 구성하고, 위기대응(Crisis Line)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지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 센터장은 "코로나 이후 또래건 갈등은 줄어든 대신 부모·자녀간 상담이나 진로 고민이 증가하고 있다"며 "월 평균 3만1699명의 청소년이 '다들어줄개'를 찾아왔고, 186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했다. 그는"고위험군에 대한 다양한 지원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청소년 공간으로 한 단계 발전한 SNS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는 '일본의 SNS 자살 상담 활동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일본 SNS자살 상담은 '입구에서 출구까지' 포괄적 삶 지원 개념"이라며 "종합적 지원을 추구하면서 자살에 이르게 한 근본적 원인을 해소하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일본 정부와 민간단체들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적극 참여해 협치형 SNS 상담을 전개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민관협력 융합 에너지로 실질적인 자살 대책 동력을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청소년층은 SNS상담 역할이 큰 만큼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며 "SNS상담이 입구 기능을 하고, 삶의 포괄적 지원 대책을 마련한다면 그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육성필 용문상담심리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시대 상황에서 대안으로 떠오른 SNS는 물론 AI를 활용한 비대면 매체 상담도 만족도가 낮지 않다"면서 "다만 개인정보나 비밀 보장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세심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했다.

조재훈 스텔라재단 대표는 "3년전 SNS를 통해 어머니가 자살한 것을 처음 고백할 수 있었는데 그만큼 SNS는 말할 수 없었던 상황을 이겨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공감했다.

이어 "미디어나 SNS에서 자극적인 요소들을 동원해서 자살을 알리면 바이러스처럼 유가족들에게 악영향을 미친다"면서 "자살위기나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사례를 많이 제시하고 희망을 만들면, 순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서일환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현재 자살 관련 상담은 1393, 1577-0199, 생명의 전화 등 대부분 대면상담과 전화상담인데, 통화를 1시간 이상 지속하는 경우가 많아 미싱콜(Miss Call)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커뮤니케이션에 취약한 분들에게 SNS상담 등 선택폭이 넓어지면 자살예방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며 "스마트폰 보급률 95%인 우리나라는 그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예상했다.

 

[생명존중시민회의 제공]

wind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