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北 2인자 김여정, 갑자기 종적 감췄다…전문가 "위임통치 보도로 몸 낮춘 듯"

기사등록 : 2020-09-03 11: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국정원 '위임통치' 분석 영향, 김정은 존재감 부각 위해 자제"
"대남·대미정책 중단 상태…외교 재개되면 다시 나타날 것"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대남·대미 정책 등 국정 전반 상당수에 대한 권한을 이양받아 '2인자', '위임통치자'로까지 불렸던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종적을 감췄다. 반면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달 7차례의 공개활동을 하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3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북한 노동당 관영매체인 노동신문의 8월 한 달 간 보도를 분석한 결과,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한 달 간 모두 7차례의 공개활동을 했다. 이는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공개활동이 총 20차례였던 것을 고려하면 8월 들어 그 횟수가 대폭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황해남도 태풍 피해지역을 현지 방문했다고 지난 8월 28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사진 = 조선중앙통신 캡쳐] 2020.08.28

다만 대북 전문가는 7차례 공개활동 가운데 5차례가 노동당 관련 회의 주재였고 수해와 태풍 피해 현장 시찰이 각각 한 차례였던 것을 보면 일상적인 통치활동과는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박사는 VOA와 인터뷰에서 "과거엔 다양한 형태의 일상적 현지 지도나 다양한 분야의 국정운영이었다고 하면 지금은 주로 대북 제재로 인한 경제난, 코로나19, 태풍 바비 이런 위기 상황에 대한 회의들"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엄밀히 봤을 때 수치로 보면 정상적인 국정운영으로 돌아온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이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2018년 2월 9일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 맞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남한을 방문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가운데). [사진=뉴스핌DB]

반면 김 위원장의 여동생이자 북한의 '실질적인 2인자'로 불리는 김여정 부부장은 공식석상에서 모습을 감췄다.

김 부부장은 그동안 미국이나 한국과의 정상회담은 물론 김 위원장의 현지 지도에 빠지지 않고 동행했고, 지난 6월 대남 공세와 7월 대미 메시지 공세의 전면에 나서며 상당한 권한을 행사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7월 27일 '전승절'을 기해 열린 노병대회 참석 이후에는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특히 정치국 후보위원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5일 열린 당 정치국 확대회의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이에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는 "김 부부장의 역할이 주로 대외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는 점에서 미북, 남북 관계의 교착 장기화로 자연스럽게 공개행보가 뜸해진 것일 수 있다"며 "6월 대남 공세 이후 일단 북한이 대미 대남 사업을 멈춘 상태이기 때문에 김여정이 안 보이는 게 이상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가정보원이 지난달 25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부부장이 '사실상 2인자'라고 보고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범철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김 부부장이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것은 최고지도자를 부각시키는 선전선동 차원일 수 있다"며 "국정원 발로 '위임통치'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런 건 북한 내부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의도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을 더욱 부각시키고 김 부부장은 당분간 활동에서 빠져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지난 6월의 대남 공세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김 부부장이 문책을 받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조한범 박사는 "6월 대남 공세, 7월 대미 공세 성과가 없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책임을 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이미 하노이(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해임당한 적이 있기 때문에 김정은식 책임정치, 그것에 대한 충분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김 제1부부장이 자리에서 물러났을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

신범철 센터장은 "북한은 11월 미국 대선 결과를 보고 2021년 1월 열리는 당 대회에서 대미 전략노선을 정하겠다는 나름의 시간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김 부부장의 역할은 대화가 재개되면 다시 두드러지게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suyoung0710@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