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9-03 14:02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정부가 한국판 뉴딜펀드 붐업(Boom-up) 여건 조성을 위해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민간 투자자들과의 성과 공유를 통해 민간 투자자금의 원할한 유치·공급을 꾀할 예정이다.
3일 공개된 '국민참여형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금융 지원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 창의성, 자율성에 기반한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를 통해 시장 주도의 투자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회사가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뉴딜 투자처를 발굴하고, 다양한 형태의 펀드를 결성해 민간 투자자금을 유치·공급하도록 했다.투자대상으로는 뉴딜 관련 프로젝트 및 뉴딜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 등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고, 뉴딜업종 내 상장기업 종목들을 추종하는 다양한 뉴딜지수를 개발·활용함으로써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인덱스펀드 등 뉴딜지수 연계 투자 상품 출시를 유도할 방침이다.
현장애로 해소와 제도개선도 적극 추진한다.
여기에 성과공유 측면에서 투자성향에 따라 추가 수익을 꾀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될 전망이다.
정부는 펀드의 자유로운 결성을 유도함으로써 고수익 또는 안정적 수익 등 수요 맞춤형 성과 공유를 측면 지원할 계획이다.
일례로 수익성을 중요시하는 투자자라면 데이터 활용 AI 개발사업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에 투자하면 된다. 반면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는 현금흐름이 안정적으로 창출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뉴딜분야에 다한 민간의 자금공급을 어렵게 하는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금융회사들의 뉴딜분야 프로젝트·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를 제약하는 감독규제 등이 일부 완화된다.
또 뉴딜 인프라 PF시 유동화증권(PF-ABS) 발행 및 자금조달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보증기관의 신용보강 지원이 강화되고, 금융회사들의 뉴딜 분야 사업에 대한 적극적 자금지원 등 뉴딜 활성화 여건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