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집콕은 싫고 바깥은 위험해"…코로나 장기화에 '드라이브 스루' 전성시대

기사등록 : 2020-09-12 07:4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 증가…드라이브 스루 매장 손님 ↑
프랜차이즈부터 마트·백화점도 가세…비용·소음 등 문제도

[서울=뉴스핌] 장주연 기자 = #1. 새신부 이신혜(33)씨는 지난 주말 남편과 오랜만에 외출에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심신이 지친 까닭이다. 대신 평소와 달리 자동차 데이트에 나섰다. 자동차 극장에 가기 전 부부가 들른 곳은 스타벅스 용인마북DT(드라이브 스루)점이다. 유동 인구가 많은 카페에 들어가지 않고도 간편하게 음료를 살 수 있는 방법을 택했다. 

#2. 직장인 김지은(35)씨는 점심시간이 시작되자 출근길 타고 왔던 차에 다시 올라탔다. 목적지는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맥도날드 고척DT점. 회사 근처에 맥도날드가 있긴 있지만 더 먼 곳을 선택했다. 차에서 내리지 않고 주문해 먹을 수 있는 '안전한' 맥드라이브 매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다. 

코로나19 사태가 8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매장 내 고객은 줄어드는 반면 언택트(비대면) 주문건은 증가세다. 특히 드라이브 스루(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주문하는 시스템) 인기가 뜨겁다. 이에 유명 프랜차이즈 매장은 물론 편의점, 개인 식당까지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 도입에 두 팔을 걷어붙이는 분위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DT 매장 손님은 '꾸준'…비대면 주문 선호 고객↑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2.5 단계 시행 영향으로 최근 2주 프랜차이즈 카페 수익은 절반으로 감소했다. 점포, 브랜드별 차이는 있지만 모든 매장의 매출이 떨어졌다. 많게는 일 매출액이 두 자릿수 이상 차이 나는 매장까지 나왔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은 건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을 도입한 특수 매장이다. 현재 드라이브 스루를 운영 중인 커피 프랜차이즈는 커피빈, 할리스, 투썸플레이스 등이다. 업계 1위인 스타벅스코리아는 전체 1450개 매장 중 270개를 드라이브 스루 매장으로 운영 중이다.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등 햄버거 프랜차이즈도 적게는 40개에서 많게는 240개까지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매장을 찾는 방문객 수는 꾸준하다. 일반 매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후속 강화 조치 후 손님이 눈에 띄게 줄었지만 드라이브 스루 매장은 예외다. 출·퇴근 시간, 점심시간, 주말에는 매장 앞으로 차량이 길게 늘어선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지난 주말 스타벅스 용인마북DT점 앞에는 대로까지 대기 줄이 이어져 차량 간격을 조율하는 직원까지 등장했다. 

드라이브 스루 매장의 인기가 이처럼 높아진 까닭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는 이들이 많아져서다. 드라이브 스루는 매장에 들어가지 않고 자신의 차 안에서 원하는 제품을 주문해 받는 시스템이라 대면 접촉이 거의 없다.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는 의미다.

수치를 살펴보면 드라이브 스루 인기를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운영 중단 매장이 없던 1~4월 스타벅스코리아의 드라이브 스루 주문 건수는 지난해 동기간 대비 40% 높게 나타났다. 롯데지알에스에 따르면 1330개 매장 중 40여개를 드라이브 스루로 운영하는 롯데리아 또한 8월 드라이브 스루 매출이 전년 대비 10% 상승했다.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맥드라이브) 매장에는 상반기에만 2000만대의 차량이 지나갔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지난해 대비 맥드라이브 이용률이 많이 늘었다"며 "맥드라이브는 1993년부터 장기적으로 투자해 온 사업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예기치 않게 빛을 봤다"고 말했다.

스타벅스 드라이브 스루 매장 [사진=스타벅스코리아] 2020.09.10 jjy333jjy@newspim.com

◆마트에 개인 식당까지 '드라이브 스루' 대열 합류…"인기 지속될 것"

상황이 이렇다 보니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도입하는 업체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커피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 전문점에 최근에는 편의점, 백화점, 대형마트와 전통·수산시장, 개인 외식업체까지 가세했다. 

CU는 10일 업계 최초로 차량 픽업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상품을 사전에 주문한 고객이 점포 앞에 차를 정차하면 근무자가 차량 창문을 통해 물건을 전달해 주는 일종의 드라이브 스루다. 노량진수산시장도 다시 드라이브 스루 판매를 진행한다. 앞서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로 활어회, 홍어 무침, 튀김 등을 차 안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홈플러스는 현재 26개 매장, 이마트는 왕십리점에서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울산점, 광주점에서 드라이브 스루와 같은 시스템인 드라이브 픽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소들녘, 서울 양재동에 있는 남우정 등 중소 외식 업체도 드라이브 스루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이미 자리를 잡은 기존 커피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들도 드라이브 스루 매장 확대를 염두에 두고 있다. 현재 403개 매장 중 83개 매장을 드라이브 스루로 운영 중인 버거킹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채널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드라이브 스루 매장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올해만 30개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 오픈하며 서비스 지역을 확대 중인 스타벅스 역시 계속해서 관련 매장을 열어갈 생각이다. 다만 스타벅스 측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드라이브 스루 이용객이 늘어난 건 사실"이라면서도 "단순 코로나19 영향이라기보다는 예전부터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지속적인 고객 니즈가 있었고 이에 따라 예정대로 꾸준히 늘리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더라도 드라이브 스루 매장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비대면 소비가 정착 단계인 데다 편리하다는 이점까지 있어 소비자 선호가 이어질 거란 의견이다. 하지만 고객 수요와 별개로 당장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 대폭 증가할 거란 의견에는 대부분 회의적이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은 일반 매장보다 큰 부지가 필요한 데다 건물을 단독으로 사용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면서 "차량 소음도 있어 주변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직영점이라고 해도 부담스러운데 개인 사업자,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위험 부담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아무리 이용자 수가 많다고 해도 지금 당장 많은 매장이 생길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jjy333jj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