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전 세계 백신 개발 경쟁 5개 후보로 압축...관리·유통 등 과제 '수두룩'

기사등록 : 2020-10-02 15:4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개발 물질 300여개...아스트라제네카 등 5개사 물질 3상
"빠르면 연내 승인도 가능...일반인 접종은 내년 중반께나"
초저온 보관·수송 체계·효능 문제 해결 등 과제로 거론
백신 한계성 부각·사용 불가피성 등에 치료제 관심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백신 개발 경쟁이 5개 물질로 압축된 모양새다. 빠르면 연내 규제 당국의 관련 승인이 내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일반인 백신 접종은 내년 중반이 돼서야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된다.

백신 출시를 앞두고 관리·유통 문제가 조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거론되고 있다. 개발 과정 압축에 따라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안전성'과 '효능'을 최대한 보장하려면 초저온 보관은 필수적이다. 수십억회 분량의 백신을 실어나를 수송 체계 확보도 관건이다. 1세대 백신 이후 효능 지속기간 문제는 장기적인 숙제로 언급된다.

◆ 임상시험 40개 물질 중 5개 3상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300여개 물질이 코로나19 백신으로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약 40개가 임상시험 중이다. 이 중 10개 물질이 마지막 임상시험 단계인 3상을 진행하고 있다. 10개 중에서 5개가 유력 물질로 거론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이미지 [사진 = 로이터 뉴스핌]

이 유력 5개 물질을 개발 중인 곳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영국 옥스퍼드대학과 공동 개발) ▲미국 화이자(독일 바이오엔테크와 공동 개발) ▲미국 모더나 ▲미국 노바백스 ▲미국 존슨앤드존슨이다. 3상을 진행 중인 나머지 5개는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와 중국 기업 3곳의 개발 물질이다. 중국 기업 중 시노팜은 2종류의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 "일반인 접종 내년 중반 돼야"

보건 전문가들은 이 5개 가운데 이르면 연내 승인을 받아 출시되는 물질이 있을 것으로 봤다. 다만 올해 안에 나오더라도 현지 의약 당국의 긴급허가 방식을 통해 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우선 접종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모두가 기대하는 일반인 접종은 내년 중반께나 가능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긍정적인 3상 시험 초기 결과 자료가 나오게 되면 한 달 안에도 해당 국가 의약 당국으로부터 긴급허가 등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후 감염 고위험군의 접종이 먼저 진행된 뒤 전체적인 3상 시험 결과의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을 거치면 일반인 대상 접종이 가능하다. 전체적인 3상 결과의 평가에 약 6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와 관련, 화이자는 3상 임상시험 자료 분석을 시작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를 10월 안에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고, 모더나는 3상의 중간 분석이 오는 11월 시작돼 늦으면 12월에 끝날 수 있다고 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연내 당국의 승인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관리·유통 시급 해결 과제

모두가 고대하는 백신이 출시되더라도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쌓여있다. 당장의 문제는 관리와 유통 문제다. 현재 각 기업의 백신 개발 과정은 통상 수년 걸리던 것을 1년 안팎으로 압축했기 때문에 출시 이후에도 효과성 및 안전성 데이터 부족이라는 꼬리표가 붙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통 시 효과성과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초저온 상태 유지가 필수적이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개발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중 일부는 약 -80℃의 온도에서 보관돼야 한다. 임상시험 때와 같은 '극도로 세심한' 환경이 유통 시에도 유지돼야 하는 셈이다. 하지만 현재 의료 공급망에서 백신은 통상 2~8℃에서 유통되고 있다. 또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 일부 지역은 냉각 유통 시설이 잘 갖춰져 있지 않아 초저온 보관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할리우드 로이터=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플로리다 주 할리우드에 위치한 '아메리카 연구센터(RCA)'에서 코로나19(COVID-19) 백신 임상시험 참가자에게 백신 개발물질이 투여되고 있다. 2020.09.24 bernard0202@newspim.com

수송 방법도 과제다. 2년에 걸쳐 전 세계에 필요한 수십억회 분량의 백신을 공급한다고 가정할 경우 화물 20만개와 비행기 1만5000대, 냉각박스 1500만개가 대략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WEF는 대량 생산에 들어간 백신 중 일부가 엄격한 관리가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 이러한 난제 중 일부는 사라질 수 있다면서, 그렇더라도 물류 상에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효능 지속성은 장기 해결 숙제

1세대 코로나19 백신 출신 이후 면역력 지속기간 등 효능 문제는 장기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다. 현재 개발 중인 물질이 백신으로 나오더라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천 예방 효과를 보기는 어렵다. 기업들의 실질적 목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증상'의 예방이다.

옥스퍼드대학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임상시험을 주도하고 있는 앤드류 폴라드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백신을 통해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건 병원 입원이나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경우, 또는 사망자 발생을 막는 것"이라며, 무증상 감염을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훨씬 큰 과제"라고 말했다. 케이트 빙엄 영국 정부 백신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면역력 지속 기간을 1년으로 가정하고 있다며, 매년 접종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백신 한계성 등에 치료제 관심

이처럼 백신의 한계가 잇따라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크다. 치료제는 백신 한계성에 따른 반사 효과뿐 아니라 사후적으로 사용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관심이 많다. 비즈니스인사이더(BI)는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 ▲혈장 치료 ▲덱사메타손 ▲로슈의 악템라 ▲일라이릴리의 항체 치료 개발 물질 LY-CoV555 ▲일라이릴리의 바리시티닙 등에 주목했다.

렘데시비르와 혈장 치료는 인공호흡기 착용이 필요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 승인이 내려졌다. 3상이 진행 중인 덱사메타손은 앞선 임상시험에서 중증 환자의 사망률을 낮춘 것으로 발표됐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플로어 스크린에 비친 일라이릴리 로고. [사진= 로이터 뉴스핌]

bernard020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