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이슈+] 네이버, 웹브라우저 수집데이터 활용 '소극적 행보' 왜?

기사등록 : 2020-10-15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구글 애플 등 글로벌기업, 데이터 활용 적극 행보
네이버 "수집데이터, 브라우저 서비스 개선에만 활용"
전문가들 "AI 연구 개발에 상당한 도움...소극 활용전략 이해 안돼"

[서울=뉴스핌] 김지완 정윤영 기자 = 웹브라우저를 통해 얻은 데이터 활용을 두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네이버의 행보가 이채롭다. 구글이나 애플 등 글로벌기업들의 경우 웹브라우저 수집데이터를 AI 연구·서비스 등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앞서 데이터3법 통과로 인해 가명 데이터 활용은 법에 저촉되지도 않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기업의 경우 AI 자연어처리 연구와 콘텐츠 추천 등을 위해 검색·행동데이터와 목소리 등 법을 위반하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상황에서 네이버 웨일(Whale)이 합법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조차 활용하지 않는다는 입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웹브라우저는 PC·모바일 기기에 설치돼 사용자의 인터넷상에서의 활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저장한다. 방문기록·쿠키(Cookie)를 통해 검색 단어 기록, 방문한 사이트 기록, 다운로드 파일, 개인위치, 비밀번호, 소비패턴, 정치성향, 사용자 흥미·관심·취미·취향 등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8일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서울 강남 그랜드 인터콘티넨탈에서 열린 'NAVER CONNECT 2020'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사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삼성전자, 네이버 등이 웹브라우저 시장에 뛰어들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은 브라우저가 인터넷 서비스의 시작과 끝이기 때문이다. 웹브라우저에서 쌓이는 데이터를 활용하면 개인맞춤형 서비스는 물론,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모을 수 있다. 웹브라우저가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있어 중요한 정보획득 창구이자 주요 자산인 셈.

14일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국내 웹브라우저 점유율은 구글 크롬 56.84%, 애플 사파리 11.17%, 삼성인터넷 11.48%, 익스플로러 5.69%, 웨일 6.87%, 엣지 4.68%, 퍼핀 1.04%, 파이어폭스  0.96% 순이다.

특히 네이버 웨일은 지난해 1월 점유율이 0.62%에 불과했지만, 2년도 채 안돼 점유율을 가파르게 끌어올렸다. 네이버 웨일은 지난 201년 3월 오픈베타 버전을 낸 뒤,  같은해 10월 정식버전을 발표했다.

◆ "브라우저 수집데이터 AI 연구·개발에 큰 도움...납득불가"

네이버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AI 연구·개발이나 자사 AI 서비스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AI 연구는 클로바(Clova)팀에서 전담하는데, 웨일 수집데이터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면서 "수집데이터는 브라우저 서비스 개선에만 활용된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구글 애드센스가 소비자 검색·구매 등을 반영해 광고가 계속 따라다니지만, 네이버 애드포스트가 그렇지 않은 것만봐도 수집데이터 활용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네이버는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이 엄격한 편이어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데이터 수집·활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도 전했다.

학계에선 이 같은 네이버의 소극적인 데이터 활용도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최준균 카이스트 교수는 "브라우저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AI 연구·개발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했다. 최 교수는 "구글이 써드파티 쿠키를 없앤 이유는 크롬을 통한 제3자의 개인데이터 수집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이용하면 사람들의 취향을 자세히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구글에서 검색을 하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가 있으면, 그걸 추천해주기도 한다"면서 "이는 개인 특성을 알고 있으니 가능한 일이다. 유튜브를 사용해도 어떤 콘텐츠를 좋아하는지 이미 다 알고있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부연했다.

한편 구글은 지난 2월 2년내 '크롬(Chrome)'에서 써드파티(3rd Party) 쿠키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퍼스트파티(1st Party) 쿠키는 방문 웹사이트에서 직접 발행한 것이고, 써드파티 쿠키는 타 웹사이트에서 발행한 것을 의미한다.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편의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본인 인증 앱 '패스(PASS)'가 추석 연휴를 대비해 유동인구가 많은 다중 이용시설을 대상으로 QR출입증의 사용을 권장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진=LGU+] 2020.09.25 nanana@newspim.com

익명을 요구한 한 과학커뮤니케이터는 "쇼핑, 웹툰, 광고 등은 모두 AI 알고리즘으로 작동한다. 네이버가 국내 최대 포털로 검색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지만, 행동데이터까지 모으긴 쉽지 않다. 그런 측면에서 웨일은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중요데이터를 수집해 준다. 상식적인 얘기지만 AI 연구개발·서비스에 데이터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네이버가 브라우저 수집데이터 활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 믿기 어려운 얘기"고 지적했다.

◆ 해외에선 브라우저 통해 합법 넘어 불법 데이터까지 수집해 자사 서비스 및 AI 연구 활용

특히 네이버의 이 같은 소극적인 브라우저 수집데이터 활용 전략은 불법을 자행하면서까지 브라우저 데이터 수집하고 활용에 나서는 구글이나 애플과도 비교된다.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 등의 웹브라우저는 합법적인 데이터 수집·활용을 넘어, 허락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용자 목소리, 개인정보까지 수집해 AI 서비스 알고리즘에 반영했다 고발되기도 했다.

더글라스 슈미트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교수는 지난 2018년 구글이 정보를 어느정도 수집하는지 분석해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크롬 브라우저가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될 때 스마트폰은 하루에 340번 구글에 이용자 위치정보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글은 해당 데이터를 맞춤형 광고 등에 활용했다.

심지어 크롬 브라우저의 시크릿 모드 실행중에도 구글은 이용자 정보 수집해 광고에 이용했다고 주장,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지난 6월 미국에서 크롬 브라우저에서 시크릿 모드(Incognito mode)로 설정한 경우에도 이용자 사생활 정보를 훔쳐갔다면서 캘리포니아 북부지역법원에 집단소송이 제기된 바 있다. 이들은 구글과 모회사 알파벳으로부터 최소 50억 달러(6조원)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

국내 한 네티즌은 회사 워크숍에서 숙소까지 다른 직원들이 자신을 찾으러 온 상황을 빗대 '추노 당한 것 같다'는 푸념을 늘어놨다. 다음날 유튜브에서 '추노 장혁 명연기 영상'이 자신에게 추천돼 충격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그는 1년간 단 한번도 추노를 검색한 적이 없다고 했다. 이후 오프라인 모임에선 '간호학과' 얘기를 꺼냈는데, 다음날 '신규 간호사가 말하는 병원 현실'이라는 영상이 추천됐다는 것. 이후 그는 크롬에서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수집하고 있다는 의혹을 웹커뮤니티를 통해 제기했었다. 

swiss2pa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