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한·일 외교차관, 강제징용 입장 확인·대화 지속 필요성 공감

기사등록 : 2020-11-12 17:3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종건 차관, 아키바 다케오 차관과 전화통화
도쿄올림픽 성공적 개최 기원하자 사의 표명

[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12일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하고 강제징용 문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도쿄올림픽, 한반도 상황 등 양국 간 주요 현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양 차관은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지난 9월 24일 일본 새 내각 출범을 계기로 한 통화에서 한일관계 발전 의지를 확인한 이후 두 나라 간의 교류·대화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11.11 leehs@newspim.com

아울러 코로나19 확산 지속과 도쿄 올림픽, 한반도 상황 등 주요 현안들과 관련해 한일 정부가 긴밀히 소통하고 대화할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했다.

외교부는 최 차관이 코로나19 확산으로 내년으로 연기된 도쿄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자, 아키바 차관이 이에 사의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최 차관은 강제징용 배상판결 문제와 관련한 정부 입장을 재차 확인하고 일본 수출규제의 조속한 철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키바 차관은 이들 현안과 관련한 일본 측 입장을 설명했다.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 한국 정부의 기본 입장은 피해자에 대한 배상 판결을 내린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것이다. 다만 일본 기업을 포함한 한일 양국 기업이 자발적 출연금으로 재원을 조성해 확정판결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해당액을 지급함으로써 당사자들 간의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방안을 일본 측이 수용할 경우 일본 정부와 제3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일본은 징용판결 배상판결 자체가 국제법 위반이니 한국이 시정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강제징용과 수출규제는 별개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양 차관은 한일 교류 확대와 한미일 공조 및 기타 역내 관심 사안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는 한편, 앞으로도 상호 관심사에 대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medialyt@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