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한국형 헤리티지]④ 세계 GDP 12위…한국 경제사와 함께한 단체들

기사등록 : 2020-11-17 07:5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경련, 재계 맏형 역할 도맡았지만...국정농단 사태 이후 쇠락
이후 대한상의가 역할...글로벌 정세변화 대응할 단체 필요성 제기

[편집자주] 한국형 헤리티지재단의 출현이 임박했다는 이야기가 재계 곳곳에서 들려옵니다. 기업들의 목소리를 정치권에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 등 우리 기업들이 당면한 시대적 과제에 머리를 맞댈 단체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심에는 재계를 대표하는 4대 그룹이 있습니다. 그중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역할은 단연 재계의 이목을 끕니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이 '한국형 헤리티지' 출현의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 과제를 짚어봤습니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국내 경제단체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한국무역협회(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등 5개로 대표된다.

이들은 한국 경제 성장과 궤를 같이했다. 독립 이후 '한강의 기적'을 이루며 한국을 국내총생산(GDP) 세계 12위로 끌어올리는데 기업들이 기둥같은 역할을 했다면 그 중심에는 경제단체들이 있었다.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뉴스핌 DB]

경제 5단체 중 재계 맏형은 명실상부 전경련이었다. 전경련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조부인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 주도로 경제인 13명이 '한국경제협의회'라는 이름으로 1961년 1월 설립했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순수 민간단체'다.

그러다 1968년 지금의 '전경련'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본격적으로 활동했다. 2000년대 전까지만 해도 전경련은 경제단체 중 위상이 가장 높았다. 이병철 초대 회장 이후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고 구자경 LG 명예회장, 고 최종현 SK 회장,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등 국내 재계를 대표하는 그룹 총수가 전경련 회장을 맡은 것도 영향이 컸다.

재계의 목소리는 전경련이 도맡았고, 국가의 주요 경제정책 수립에도 전경련의 입김이 미쳤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에 전경련이 연루되면서 위상은 급격하게 추락했다. 이후 해체론이 불거졌고 삼성, 현대차, SK, LG 등 대기업들이 연달아 회원사에서 탈퇴했다. 회원사도 600여개에서 500여개로 줄었다. 청와대 정부 등도 경제단체 소통 대상에서 전경련을 제외했다.

힘은 빠졌지만 전경련은 탄탄한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민간 경제외교 대표 채널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왔다. 미국이 한국산 철강에 대해 관세부과 방침을 밝혔을 때는 '한국을 제외해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미국 의회와 백악관 등에 보내기도 했다.

지난해 일본의 수출규제로 양국 관계가 냉각돼 있을 때에도 전경련이 앞장섰다. 일본 최대 경제단체 게이단렌과 한일재계회의를 열고 양국 간 경제·산업 협력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또한 한일 재계회의, 한미 재계회의 등 주요 31개국 32개 경제단체와 정기적으로 경제협력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경제인 모임인 BIAC 등 다자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4대기업 총수 등 기업인들이 2019년 1월15 문재인 대통령이 마련한 기업인들과의 대화 자리에 모였다. 사진은 청와대 경내 산책을 하는 모습.  [사진=청와대]

전경련의 위상이 하락하면서 경제단체 맏형 역할은 자연스레 대한상의로 넘어갔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본격화됐으나 조짐은 이미 이전부터 있었다.

박근혜 정부에서도 대통령 초청 경제계 신년 인사회나 국회의원 환영 리셉션 등 재계 행사를 전경련이 아닌 상의가 도맡아 하곤 했다. 특히 이번 정부는 재계의 파트너로 상의를 택했다. 노동 현안이나 규제개혁 등 굵직한 논의를 할 때에는 대한상의를 파트너로 택했다. 대한상의는 경제단체 중 역사가 가장 길다.

1884년 일제 자본에 대항하기 위해 서울 상인들이 만든 한성상공회의소가 모태다. 이후 지역별 상의가 만들어졌고 1948년에 지금의 대한상공회의소로 이름을 바꿨다. 1952년에는 사공회의소법이 제정되면서 법정단체로 인정받았다. 공식 초대 회장은 1954년에 취임한 이중재 경성전기 회장이다. 창립 137주년을 맞은 올해, 전국 73개 상공회의소를 유지하고 있으며 회원사는 18만여 곳으로 대기업부터 중견·중소기업으로 다양하다.

현재는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이 수장으로 상의를 이끌고 있다. 2013년 7월 21대 회장에 오른 박 회장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정몽윤 현대해상화재보험 회장, 이만득 삼천리 회장 등을 회장단에 올리면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22대, 23대(임기 2021년 3월)까지 연임했다.

경총은 전경련을 통해 설립됐다. 전경련에서 노사 관계를 다루던 부서였으나 1970년 노사 쌍방의 이해와 협조가 중요하다고 판단, 독립기구로 분리됐다. 노동, 고용관계법 제·개정 때 경영계 대표로 나서 입장을 대변하고 임금 및 근로시간 대책, 노사안정화 대책, 안전보건정책 등의 사업을 주로 한다.

무역협회는 1946년 105개의 무역 업체 대표가 모여 세운 민간단체다. 현재 약 7만여 개의 회원사를 두고 있으며 수출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무역정책 건의, 민간 통상협력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수출 기업 지원 등 무역 부문에서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현재 7만 2000개의 회원사가 있으며 전국 13개 지역 본부를 비롯해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 등 해외에 11개 지부가 있다. 1988년에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코엑스)를 세웠다.

중기중앙회는 1962년 중소기업의 권익 대변을 위해 만들어진 단체다. 중소기업협동조합법을 기반으로 설립됐으며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로 시작해 2006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현재 중소기업협동조합 및 중소기업 관련 단체 609개가 소속돼 있다. 회원사는 65만여 곳이며 전국에 13개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이처럼 경제단체들이 각각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과거의 전경련 역할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시각이 많다. 특히 미국 정권교체와 같은 글로벌 정세 변화에 긴밀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싱크탱크형 새로운 경제단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sj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