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코로나에 뜬 길리어드, 길게 봐도 매력적인 이유

기사등록 : 2020-12-02 06: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이 기사는 3월 20일 오후 5시3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연초 중국에서 번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이른바 팬데믹(대유행)으로 번지면서 지구촌 주식시장이 폭락을 연출한 사이 두각을 나타낸 종목이 있다.

화제의 종목은 미국 생명공학 업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 GILD).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업체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부터 B형 및 C형 간염, 인플루엔자 등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선두 주자다.

코로나19가 전세계 주요국을 잠식한 사이 글로벌 주식시장이 패닉을 연출했지만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강한 저항력을 과시했다.

지구촌 경제를 마비시킨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가 번지면서 길리드 사이언스는 패닉 매도를 피했고, 일부 투자자들은 '사자'에 무게를 실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길리어드 이외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와 이노바이오 제약, 존슨 앤 존슨, 모더나, 리제너론 제약, 사노피, 다케다 제약, 비르 바이오테크놀로지 등 상당수의 업체가 코로나19에 대항할 백신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길리어드의 치료제 사용을 승인하면서 월가의 조명이 집중됐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출처=업체 홈페이지]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진화된 이후에도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투자 매력이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장기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열려 있고, 수익성 개선을 앞세운 주가 상승이 확실시된다는 얘기다. 업체의 탄탄한 신약 파이프라인이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다.

◆ 독감부터 에이즈까지 길리어드가 정복했다 = 길리어드는 한 때 암보다 무서운 불치병으로 통했고 여전히 난치병으로 분류되는 에이즈부터 간질환, 혈액암, 심혈관질환, 그 밖에 각종 염증과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품을 수 십가지 개발했다.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가 길리드의 손에서 탄생했고, 아트리플라와 디스코비 등 업체가 개발한 다수의 HIV 치료제가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환자들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지난 1987년 존스홉킨스 의과 대학과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거친 29세의 젊은 의사 마이클 L. 리오단이 설립한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제약과 암 부문 권위자들이 합류하면서 생명공학 분야의 경쟁력을 다졌다.

이어 먼로 벤처스에게서 200만달러의 첫 투자를 유치한 이후 월가의 큰 손들이 길리어드의 성장성에 베팅하면서 방대한 규모의 연구와 신약 개발을 위한 동력을 마련했다.

유전자와 DNA 관련 질환 및 치료제 개발에 집중했던 길리어드는 1990년부터 1998년까지 글락소와 손잡고 유전학 연구에 매진해 가시적인 성괄르 냈고, 1992년 나스닥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실시해 자본을 확충했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길리어드 사이언스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후 1999년, 연간 매출액 1억3000만달러로 길리어드의 세 배 규모인 넥스타 제약을 인수, 현재까지 생산하는 핵심 의약품 라인을 확보한 한편 비약적인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2000년에 들어선 이후 업체는 바이러스 관련 의약품에 핵심 사업을 집중하는 한편 암 치료제 관련 자산의 대부분을 OSI 제약에 매각, 비즈니스를 정비했다.

이후 공격적인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간염과 인플루엔자, 독감 등 바이러스 관련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

◆ 바이러스의 습격, 길리어드가 희망 = 길리어드는 위기 상황에 뛰어들어 인류에게 생명줄을 제공한 기업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널리 알려진 렘데시비르(Remdesivis)는 본래 길리어드가 2013~2016년 서아프리카에서 번진 에볼라 출혈열 치료제로 개발한 항바이러스제다.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한 뒤 세포 내에서 복제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약품이 바로 렘데시비르다.

에볼라 출혈열을 겨냥해 개발한 렘데시비르는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중동호흡기질환)을 일으킨 바이러스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임상 실험에서 밝혀졌고, 인류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전염병을 극복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웠다.

미국 CDC가 이 항바이러스제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투약하도록 승인하면서 길리어드는 또 한 차례 인류를 위기에서 구한 셈이다.

미국 개미 군단으로 구성된 인터넷 투자 매체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은 코로나19 치료제가 적어도 2020년 말까지 길리어드의 매출액을 폭발적으로 늘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참고 원문 https://www.fool.com/investing/2020/03/16/can-this-american-biotech-company-save-the-global.aspx)

기존 의약품 역시 길리어드의 수익성 향상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특히 HIV 치료제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연구 현장 [출처=업체 홈페이지]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HIV 치료제 시장 규모가 2015년 200억달러에서 2022년 260억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길리어드가 지난 2018년 미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은 뒤 시판 중인 HIV 치료제 비크타르비(Biktarvy)의 매출 신장에 커다란 기대를 걸고 있다.

아울러 FDA의 승인을 기다리는 류머티즘 치료제 필고티니브(Filgotinib) 역시 월가가 기대를 모으는 신약이다. 억체는 2024년까지 신약의 매출액이 13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 4년간 수익성 뒷걸음질, 반전 온다 = 사실 길리어드는 지난 2016년부터 4년간 큰 폭의 매출 감소를 나타냈다.

2015년과 320억달러에 달했던 매출액은 2016년 303억달러로 후퇴했고, 이후 해마다 감소를 기록하다 지난해에는 223억달러로 위축됐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크게 줄었다. 2015년 181억달러에 달했던 순이익이 이듬해 135억달러로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약 54억달러에 그쳤다.

월가는 2020년을 시작으로 길리어드가 턴어라운드를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렘데시비르 이외에 HIV 치료제와 류머티즘 신약이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증시 패닉 속에 길리어드의 '나홀로 상승'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뉴욕증시가 자유낙하를 연출한 2월 초부터 3월 중순까지 업체의 주가는 10% 가량 급등했다.

미국 투자 매체 포브스는 C형 간염 치료제 판매가 크게 감소하면서 길리어드의 전반적인 수익성과 주가에 흠집을 냈지만 바이러스와 인류의 사투 속에 승자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higrace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