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GAM

[GAM] 급격한 약달러에 포스트-팬데믹 환율전쟁 전운

기사등록 : 2020-12-05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4일 오후 6시4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런던 로이터=뉴스핌] 김선미 기자 = 코로나19(COVID-19) 백신과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금융시장의 희열이 지속되며 미달러 약세가 지속되는 한편 일부 신흥국 통화 상승이 지나치게 가팔라 새로운 환율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로이터 통신은 4일(현지시간) 약 10년 전 브라질 재무장관이 서방국 중앙은행들의 통화 발행을 경제 전쟁 선포로 간주한 때와 마찬가지로 일부 국가들에서 환율 전쟁의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브라질 헤알화 [사진= 로이터 뉴스핌]

경제회복 기대에 투자자들이 대거 위험자산으로 몰리면서 신흥국 통화들은 지난 11월 근 2년 만에 최대 오름폭을 기록함과 동시에 6월부터 시작된 장기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전날 미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2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만큼 신흥국 통화들은 2012년 이후 최장기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한국과 대만, 태국에서는 이미 지나친 자국 통화 절상 취약한 경제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에 환시 개입 등의 조치에 나섰다.

스웨덴 크로나가 올해 전 세계 통화 중 가장 가파르게 절상되자, 스웨덴 중앙은행인 릭스방크는 지난주 갑작스럽게 통화 팽창 정책을 확대하기도 했다.

UBS의 신흥시장 전략 책임자인 마닉 나라인은 "아직 환율전쟁이라 부르기에는 지나치지만, 조기 경고탄이 쏘아 올려지고 있다"며 "자국 통화 절상이 지속되는 이들 국가들이 한층 강한 조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제학자들은 경쟁적 통화 절하가 1930년대 대공황을 더울 심화시켰고 자국보호주의를 촉발시켜 수십년 간 세계무역의 발목을 잡았다고 진단하고 있다.

환율전쟁 사이클은 통상 보복성 금리인하와 환시 개입으로 시작해 이내 자본통제 및 신흥시장으로 대거 유입되는 핫머니를 차단하기 위한 투자세 등으로 확대된다.

국제금융협회(IIF)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 투자자들은 신흥국 주식과 채권 시장에 각각 역대 최대인 400억달러 밑 370억달러의 자금을 유입했다. 이는 8~10월 총합 규모보다 많은 수준이다.

이에 지난 6월 이후 한국 원화·중국 위안·대만 달러 등은 5~12%, 멕시코 페소·브라질 헤알·터키 리라·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러시아 루블·폴란드 즐로티 등은 5~10% 뛰었다.

신흥국 통화 강세를 부추긴 재료는 코로나19 백신 상용화에 따른 무역, 여행, 상품가격 정상화 기대뿐만이 아니다.

대부분 선진국이 저금리를 유지하면서 투자자들이 채권시장에서 플러스 수익을 거둘 곳이 마땅치 않았던 참에 전기차와 자동화 등 산업의 전망이 밝아지면서 반도체 강국이 포진한 아시아 시장으로 자본이 밀물을 이뤘다.

조 바이든 차기 미국 정부의 보다 예측 가능한 무역정책에 힘입어 내년에는 세계무역이 3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신흥 수출 강국들로 자본을 유입시켰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 핌코(PIMCO)의 신흥시장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책임자인 프라몰 다완은 "환율전쟁 가능성이 있는 곳은 자본 유입이 강력한 곳"이라며, 한국과 대만, 중국을 핫스폿으로 꼽았다.

환율전쟁을 실제로 발발하게 하는 것은 통화 절상 폭보다는 속도다.

지난 2010년 9월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이 환율전쟁을 선포했을 당시 헤알은 미달러 대비 단 3개월 만에 10% 이상 급등했고 이듬해 6월까지 17% 추가 상승했다.

이번에는 미달러가 8개월 만에 11% 하락했다. 하지만 미국 투자은행 모간스탠리는 미달러가 여전히 10% 고평가돼 있다고 진단했고, 씨티은행은 내년 미달러가 20%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로빈 브룩스 II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달러의 이러한 움직임에도 전면적 환율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신흥국 통화들은 여전히 올해 미달러 대비 평균 5% 하락한 수준이고, 팬데믹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헤알과 리라 등은 아직도 25% 내린 수준이다.

브룩스 이코노미스트는 "솔직히 내가 신흥국 정책결정자라면 매일 자국 통화가 절상되고 있는 것에 감사할 것"이라며, 통화가 절상되면 그간 눈덩이처럼 불어난 달러화 표기 부채 상환 비용이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유로와 엔이 미달러 대비 상승 흐름을 지속한다면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이 대응에 나설 것이며, 위안화 절상에 대한 중국의 반응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브룩스 이코노미스트는 조언했다. 태국 중앙은행도 바트화 움직임을 '24시간 주시'하고 있다고 선언한 바 있다.

g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