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올해 전 세계에서 92개사의 유니콘 기업이 출현한 가운데 한국은 올해 단 1개의 유니콘 기업만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글로벌 유니콘 기업인 에어비앤비가 올해 코로나19 영향에도 성공적으로 나스닥에 입성한 것과 대비된 모습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올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 501개사를 분석해 주요국 유니콘 기업 동향 및 한국 유니콘 기업의 현주소를 진단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글로벌 유니콘 기업 동향(2016~2020) [자료=전경련] 2020.12.15 iamkym@newspim.com |
유니콘 기업은 기업가치 10억 달러가 넘는 비상장 기업을 의미한다. 기업이 상상 속 동물 유니콘처럼 희귀하다는 뜻을 담아 미국 벤처캐피털 '카우보이 벤처스'의 창업자 에일린 리가 2013년 처음 사용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CB Insights에 의하면 지난달 25일 기준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총 501개사이다. 그 중 미국이 243개사, 중국이 118개사로 전체 유니콘의 72%를 보유한 가운데, 한국은 11개사로 6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한 기업 수는 빠르게 증가, 2018년 이후로는 약 3일마다 1개꼴로 유니콘 기업이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추세는 코로나19로 유례없는 경제적 위기를 겪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난달 말 기준 새롭게 유니콘에 등극한 기업은 92개에 달했다. 미국 기업이 58개사로 63%를 차지했고 중국과 인도가 각각 6개사를 배출한 반면, 한국은 단 1개 기업에 그쳤다.
글로벌 유니콘 기업 보유국 기준 6위인 우리나라는 순위에 비해 진출분야가 전자상거래에 편중돼 있고, 기업가치 또한 총 11개사 중 크래프톤(게임, 배틀그라운드)과 쿠팡을 제외한 9개사가 산업 평균을 훨씬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니콘 기업은 상대적으로 평균 기업가치가 낮은 전자상거래 분야에 3개사(쿠팡, 위메프, 무신사)가 배출된 반면, 평균 기업가치가 가장 높은 AI 산업을 비롯해, 드론, 클라우드센터 등 하드웨어분야와 코로나 이후 성장세인 에듀테크 분야에 진출한 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영상 틱톡(TikTok) 서비스 기업이자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유니콘 기업인 바이트댄스는 활발한 투자유치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해 지난해 매출액 기준 중국의 대표 IT기업인 바이두를 추월했다.
우리나라에 아직 AI 분야 유니콘 기업이 없는 것과 관련, 전문가들은 대규모 투자유치가 어렵고 규제장벽과 부족한 AI 기술인력 등 취약한 국내 AI 산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지속적인 투자지원 및 해외 기술인력 유치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지원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아울러 현재까지 한국 유니콘 기업 총 12개사 중 증시 IPO 또는 M&A 등을 통해 투자회수에 성공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가장 주목받는 화상회의 소프트웨어 줌(Zoom)은 성공적 엑시트 유니콘 사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지난해 4월 공모가 36달러에 IPO 후 나스닥에 입성, 1년여 만에 10배 이상 성장(385.36달러)해 미국 대표기업 IBM의 시가총액을 앞지르는 저력을 보이기도 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 연말 독일의 딜리버리 히어로와 40억 달러의 인수계약을 체결한 우아한 형제들(배달의민족)은 공정위의 제동으로 인수 절차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벤처업계에서는 IPO를 통한 증시 상장의 경우, 경영권 방어가 어려워 외부 개입에 취약한 점과 늘어나는 규제로 인한 어려움을 제기하고 있다. M&A의 경우 해외에 비해 기업가치 평가사례와 역량 있는 벤처캐피탈(VC)이 부족해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기 어렵고, M&A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글로벌 스타트업의 중장기 목표 [자료=전경련] 2020.12.15 iamkym@newspim.com |
미국 벤처금융 전문 실리콘밸리은행 '2020 글로벌 스타트업 아웃룩'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스타트업의 70% 이상이 IPO 또는 M&A를 중장기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 서구권 스타트업들이 M&A를, 중국 기업들은 IPO를 엑시트 전략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유니콘 기업의 육성 및 엑시트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투자)→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첨단 분야에 대한 육성책이나 스타트업의 투자회수시장은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엑시트와 관련해 최근 증시호황과 함께 IPO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국내 유니콘 기업들의 상장을 통한 투자회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경영권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M&A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규제 완화 등을 통해 M&A에 우호적인 기업환경 조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