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그린뉴딜과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노후선박 등 528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40t이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저탄소·무탄소 등 선박배출 온실가스 70% 저감기술 확보를 위한 체계적 기술개발이 지원되고 친환경 선박 실증 프로젝트인 '그린쉽-K'가 추진된다.
정부는 2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2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및 '제7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공공부문 388척·민간부문 140척 친환경선 전환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0.12.23 fedor01@newspim.com |
정부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와 유럽연합(EU)의 배출권거래제(EU-ETS) 시행(예정)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조선·해운시장이 기존 유류선박에서 친환경 선박 체계로 패러다임이 전환 중이다. 이에 따라 해양환경 규제와 친환경 선박 신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이번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액화천연가스(LNG)·하이브리드 등 상용화된 기술을 우선 적용해 공공부문부터 선제적으로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고 민간부문으로 확산한다.
노후 관공선 199척은 대체 건조하고 선령 10년 미만의 189척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해 개조하는 등 2030년까지 총 388척의 관공선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표준설계와 통합발주를 활용해 건조비 절감이 가능해져 비용 상승으로 친환경 선박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이 완화될 전망이다.
민간선박의 경우 유·도선과 여객선 등 내항선박 58척, 화물선 등 외항선박 82척 등 총 140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전체 대상선박 3542척의 15%에 해당하는 528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해 2030년까지 4조9000원의 매출, 11조원의 생산유발와 4만여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아울러 미래 친환경선박 세계 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현재 상용화 기술인 LNG, 전기, 하이브리드 추진 기술은 핵심기자재의 국산화·고도화 기술 개발을 통해 원가와 기술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향후 무탄소 연료 개발을 위한 브릿지(Bridge) 기술로서 기존 연료와 무탄소 연료를 혼합해 사용하는 혼합연료 추진 기술과 마찰 저항 저감, 경량화·고효율 추진기 등을 통해 저탄소 기술을 개발한다.
LNG 공급능력·육상전원공급설비 확대 계획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0.12.23 fedor01@newspim.com |
초기단계인 무탄소선박의 경우 수소·암모니아 연료전지 등 핵심 기자재 기술과 연료저장탱크, 연료공급·추진 시스템 개발을 통해 무탄소 선박기술을 조기에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존 유류선박 대비 70%이상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약 95000억원을 투입하는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LNG 벙커링 전용선,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추진선박 등 친환경 신기술을 적용한 10척 이상의 시범선박 건조를 추진한다. 다목적 해상실증용 선박 건조, 퇴역예정 관공선 개조 등을 통해 4척 이상의 기자재 해상실증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이밖에도 친환경선박 보급 촉진을 위해 LNG벙커링 선박 운영, 육상 터미널 구축 등 LNG 연료 공급수단을 다변화한다. 친환경선박 시장주도 생태계 조성을 위해 친환경선박과 기자재 국가 인증제도 등을 운영해 사업자 선정 시 가산점 부여, 인증 받은 기술의 국제 표준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친환경선박으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국제 규범상 의무이며 해운·조선분야의 새로운 도전과제로 산업생태계를 한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