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파수, 내년 영업익 800%↑ 전망...'코로나·데이터3법 특수'

기사등록 : 2020-12-29 14: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21년 매출액 549억·영업익 102억...전년比 40.7%, 759.4%↑ 전망
비대면 업무 증가·데이터3법 시행·해외 사업 성과 가시화 영향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보안업체 파수가 '코로나19 특수'와 '데이터3법' 시행으로 내년 본격적인 실적 반등에 나설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선 파수의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 대비 800% 가량 늘어 처음으로 100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파수의 2021년 매출액 컨센서스(추정치)는 549억원, 영업이익은 102억원으로 올해 매출액 390억원, 영업이익 12억원 대비 각각 40.7%, 759.4% 증가한 수준이다.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2020.12.29 yoonge93@newspim.com

특히 올 3분기 기준 파수의 누적 영업적자는 70억원에 달하지만, 업계에선 올해 파수가 4분기 영업이익 83억원을 추가해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파수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15억원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비대면 문서보안 시장이 활성화됐고 8월 데이터3법 시행으로 비식별화 시장까지 본격화되면서 관련 수요가 증폭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파수 관계자는 지난해 영업 적자와 관련해 "데이터 보안과 애플리케이션 보안 사업 매출이 증가해 매출은 늘었으나, 해외 사업에 대한 투자 증가와 데이터3법 시장 대비를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투자 증가, 회계정책 변경과 대손 및 충당금 적립 증가로 인해 손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파수는 데이터보안(DRM)계 전통 강자로 꼽힌다. 데이터 보안이란 암호화된 DRM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로, 파수는 세계 최초 DRM 기술을 상용화했다. 현재 파수는 데이터 보안 영역에서 국내 최다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 파수의 매출 비중은 데이터보안 172억원으로 매출 구성 절반에 해당하는 48.5%를 차지했다. 올해는 해당 매출이 198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늘어나고, 기세를 몰아 내년 16% 성장한 23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상현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비대면 업무의 활성화와 클라우드 기반의 근무 환경으로 정보 유출 관리 및 방지를 위해 기업형 DRM 솔루션 수요 확대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파수는 데이터3법 시행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을 공급해 내년 매출액 100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국내서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을 보유 중인 기업은 파수, 이지서티, 펜타시스템 등 3곳 뿐이다. 파수는 이미 2016년부터 자사 개인정보 비식별 솔루션인 '애널리틱디아이디(AnalyticDID)'를 다수 기관·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오승택 리딩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데이터3법 도입으로 비식별 솔루션 제품에 대한 수요 창출이 파수의 또 다른 성장의 트리거가 될 전망"이라며 "2016년부터 비식별화 솔루션 제품을 금융보안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에 납품한 이력이 있으며, 이미 국내 금융사, 통신사 및 의료 업체들과 해당 솔루션에 대한 내용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DRM 솔루션 해외 성과 역시 가시화될 전망이다. 파수는 지난 2012년 미국법인을 설립, 통신·자동차·금융·제조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해 현재 코메르츠은행(Commertzbank), 일본 자동차부품회사 덴소(Denso), 통신사 베리존(Verizon) 등 레퍼런스를 확보해 놓은 상황이다. 

여기에 파수는 최근 전세계 20만명 이상의 종업원을 두고 있는 미국 대표적 설비·기계 제조 기업집단과 제품 공급 ·시스템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오승택 애널리스트는 "2010년부터 준비해온 북미 시장에서의 성과가 올해부터 가시화 될 전망"이라며 "향후 해당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북미 사업에서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내다봤다. 

파수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업무가 일상화되면서 재택·원격 근무 시에도 정보 유출 위험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업무 진행을 위한 솔루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며 "또한 데이터 3법 시행으로 가명정보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전문기관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에서도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도입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트너, 포레스터, 아이테 등 글로벌 리서치 기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에 파수 제품이 계속해서 소개되고 있고, 파수의 주력 제품인 데이터 보안 솔루션과 데이터 식별 및 분류 솔루션의 니즈 또한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yoonge9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