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美 대형 은행주 '꿈틀'...'XLF·KBE' ETF '초점'

기사등록 : 2021-01-18 15: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대 24% 급등, 타업종 대비 높은 상승세
금리 상승→순이자마진 반등 기대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힘입어 대형은행주들이 강세다.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 역시 금리 우상향 관측에 힘을 싣는다. 이처럼 은행업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된 만큼 대형은행들이 포함된 ETF상품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럽다.

18일 뉴욕거래소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주가는 지난 한달간(12.15~1.15) 24.2% 뛰었다. JP모간체이스과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메릴린치는 전월대비 각각 15.2%, 15.3%씩 올랐으며, 씨티그룹은 7.6% 상승했다. 모두 같은 기간 S&P500의 1.99% 상승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냈다.

월가 [사진=블룸버그]

이 같은 은행주의 급등엔 연준의 자사주 매입 재개 결정이 모멘텀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사주 매입은 수급을 개선시켜 투자자들 심리에 우호적인 재료로 작용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JP모간, BofA, 모간스탠리,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웰스파고 등 미국 대형 은행 6곳은 올 1분기 중 한화로 약 11조6000억원에 이르는 자사주를 매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관련 ETF 상품들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S&P에 상장된 금융업종 66개 종목을 추종하는 ETF 상품인 XLF는 지난 15일 기준 30.94로 10월말 대비 30% 급등했다. 은행 41.3%, 보험 32.4%, 투자은행 21.2%의 비중으로 구성돼 있다. 또 다른 상품인 KBE는 S&P에 상장된 은행업종 91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다. KBE는 46.04로 10월말 대비 38% 올랐다. 이들의 지난해 연간 배당 수익률은 각각 1.96% 2.26% 수준이다. 박승진 하나금융투자 글로벌 ETF 연구원은 "개별 은행에 투자할 수도 있지만 해외는 기관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리스크를 중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고객들이 ETF를 대안으로 찾는다"고 전했다.

블루웨이브(상하원 다수당, 대통령 모두 민주당 차지) 확정 이후 금리가 상승흐름을 타고 있어 은행주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10년만기 미 국채 금리는 이달 초 블루웨이브가 확정된 이후 1%대로 상승했다. 금리 상승은 대체로 증시에선 부정적인 재료로 인식되지만 대출과 예금의 금리차가 마진으로 이어지는 은행업종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여진다.

시장에선 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이 바닥을 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JP모간, BofA, 씨티그룹 3개사의 NIM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작년 10월 1.9%p까지 하락한 이후 횡보 중이다. 한상희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의 NIM은 시차를 두고 장단기 금리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장단기 금리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NIM도 회복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것 역시 금리의 추가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당분간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란 발언은 조기 긴축에 대한 우려를 축소했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미 10년물 BEI는 올해 1월 15일 2.10%로 2018년 10월 22일(2.11) 이후 최대 수준이다. BEI는 10년물 국채 금리에서 물가연동채 금리를 뺀 값이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측이 높아져 물가연동채 금리가 국고채 금리보다 더 떨어지게 되면 BEI는 확대되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즈호 은행의 비슈누 바라탄 경제 전략 헤드는 "더 많은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10년물 금리가 1.5%, 2%까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선 가파른 금리 상승은 오히려 은행주에 타격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박 연구원은 "(금리상승) 속도가 너무 빠르면 금융주 혼자 강할 수는 없다. 명목금리상승의 속도가 유동성 공급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다만, 시장에서 테이퍼링이 빨라진다는 경계심이 커지면 정책효과가 꺾일 수 있어 연준이 중간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설명했다.

lovus2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