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ESG, 새로운 기회] 꿀벌이 되살아온다? …ESG 투자가 이끄는 변화

기사등록 : 2021-03-05 08:2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의 약자) 경영은 더 이상 한 때의 트렌드가 아닙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시대는 저물고 있습니다. 환경파괴, 산업재해, 재난, 금융사고 등 부정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른바 착한기업에 '글로벌 머니'가 몰려가고 있습니다. 잘 준비하지 못하면 위협이고 반대의 경우는 새로운 기회입니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은 국내외 ESG 현황과 과제를 짚어보는 대기획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ESG 경영을 응원합니다.

[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기후변화가 향후 가져올 식량위기는 꿀벌의 숫자가 급감하면서 초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5년간 그린본드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를 포함한 공공기관과 민간기업들이 발행하는 그린본드는 그 용도가 ESG에 맞춰져 있고 엄밀한 사후관리를 받는다.

ESG기준 외부 평가기관들이 생겨나면서 기업 신용도뿐만 아니라 기업 가치도 변하게 됐다. 핀란드의 민간기업 메싸그룹과 캐나다의 밴쿠버 시정부의 그린본드 발행절차와 사후관리 사례가 ESG 투자시장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ABC뉴스에 따르면 호주에서 이번 봄에는 라니냐 때문에 꽃가루 생산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꿀 생산량도 평년에 비해 40%나 줄어들었다. 라니냐로 날씨가 서늘하면서 건조해서 식물들이 꽃가루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고 또 꿀의 원료가 되는 꽃의 생식샘도 말라버린 것이 그 이유다.

독일의 한 논밭 위에 세워진 풍력 발전 터빈. [사진=블룸버그]

이에 현지 양봉업계에서는 단기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해서 정부와 논의를 시작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글로벌 100대 농산물 생산량에서 꿀벌의 기여도는 71%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꿀벌이 없으면 농산물도 현재의 20% 수준으로 그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꽃가루 매개자로서 꿀벌의 비중이 그 만큼 높다.

전문가들은 식물 화분 매개자인 꿀벌이 사라지면 자연히 식물을 먹이로 삼는 초식동물이 사라지고 분해생물과 미생물도 도미노처럼 연쇄적 영향을 받게된다.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도 4년 내에 사라진다는 아인슈타인의 예언도 과장이 아닌 악몽으로 다가오는 듯 하다.

꿀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꿀벌의 숫자가 줄어든다는 말이고 그 이유가 기후변화에 있다고 일단 받아들인다면, 근본적인 대책은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탄소배출을 축소해 넷제로로 가야한다.

탄소배출은 지금까지는 거의 공짜였다. 예컨데 탄소배출 기업들이 주변의 일부지역에 보상금을 지불하는 경우가 있다하더라고 그것이 가져올 피해에 대한 외부효과는 기업의 목표 이익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학계에서는 벌써 기업의 손익표에 이같은 외부효과를 비용으로 반영해야한다며 그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비즈니스스쿨의 조지 세라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이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세라핌 교수는 ESG투자 분야의 대가로 알려져있다.

현재 시스템에서도 기업가치가 ESG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마당에 세라핌 교수팀이 회계이론을 개발한다면 보다 명확하게 어쩌면 더 큰 폭으로 기업가치가 흔들릴 수도 있다.

아직 그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린본드 또는 그린대출에서 ESG에 대한 외부평가 기간이 생겨났고 이에 따라 자금조달 비용도 달라지게 됐다.

자금용도가 한정되어 있지만 전 세계 그린본드 발행규모는 지난해 9월 한달간 500억달러, 지난해 10월까지 누적 발행 1조달러가 넘어섰다. 그린본드 발행 가이드라인을 잘 준수할 경우 일반 본드 발행에 비해 20bp(0.2%포인트)의 이자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캐나다 밴쿠버 시정부의 그린본드와 핀란드 메싸그룹의 그린본드 발행 사례

캐나다 밴쿠버 시정부는 지난 2018년 8500만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후 그린본드 연간보고서를 내고 있다.

그린본드 발행에 앞서 밴쿠버 시정부는 그린본드 프레임워크를 공시했다. 2050년까지 전기 100%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고 또 그린하우스 가스 배출을 2007년 기준 80%를 감축하겠다는 기본 방침과 함께 자금용도를 재생에너지, 클린 교통, 지속가능 하수관리, 그린빌딩 등 7개 분야에 투자한다고 적시하고 있다.

이런 그린본드 프레임워크가 실제 준수되는지에 대해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보고서(SPO: Second Party Opinion)도 매년 제시하고 있다.

서스테널리틱스(Sustainalytics)의 SPO는 자금의 용도, 관련 사업의 평가, 자금관리, 사후관리 리포팅 4분야에 대해 실사를 통해 확인을 하고 당초 밴쿠버 시정부가 내놓은 그린본드 프레임워크를 잘 준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2018년 채택 지속가능본드 가이드라인에 적합한지에 대한 의견을 내고 있다. 지난 6월 서스테널리틱스의 SPO는 '적정하다'였다.

또 밴쿠버 시정부는 그린본드 연간보고서에서 자금사용처를 밝히고 있는데 하수 및 수자원 관리시설 보수에 3255만달러(지속가능 하수관리), 로단로지 커뮤너티 시설에 2665만달러(그린빌딩), #17 소방소 개축에 1430만달러(그린빌딩), 폴스그리크지역 에너지시설 확장에 6023만달러(재생에너지) 등이다.

이는 자금사용 규모와 그린본드 프레임워크에서 제시된 용도, 그리고 개별사업의 진행도 등 매우 자세하게 자금사용 사후관리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발행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이같은 엄밀한 관리를 통해 기후변화에 구체적으로 대응하도록 그린본드가 설계되고 발행가이드 라인이 제시된 결과다.

민간기업의 경우 지난 2019년 이래 그린본드 발행과 그린차입을 하고 있는 핀란드의 목재회사 메싸(Metsa Group)가 좋은 예이다.

메싸 그룹도 그린본드 프레임워크를 발행에 앞서 제시했다.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된 이 그린본드 프레임워크는 회사 소개와 더불어 회사의 주요한 전략의 하나로 지속가능성을 채택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그린본드로 조달한 자금을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제고, 공해방지, 지속가능한 토지사용, 지속가능 하수관리, 재활용 경제 활성화 등 6개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민간기업으로 눈에 띄는 것은 '지속가능 자금조달 위원회(Sustainable funding committee)'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고 재무책임자(CFO)가 이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관련 프로젝트의 선정과 사후관리 평가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의 SPO도 회사 웹사이트에 공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환경(Environment)과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는 ESG가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와 지속가능성 평가기준으로 필수적인 자리를 이미 굳히고 있다. ESG 요소에 기반을 둔 경영, 즉 ESG 경영은 기업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미래를 좌우하는 요소가 된 것이다.

이렇게 글로벌금융시장이 급격하게 ESG쪽으로 비중을 옮겨가면 머지 않아 멸종해가던 꿀벌도 되살아 올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캐나다 뱅쿠버 시정부의 '그린본드 연간보고서'

007@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