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新라이벌] 클라우드 1위 '나야 나'...KT 이미희 vs 네이버 김태창

기사등록 : 2021-03-21 07:1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탄탄한 유선망으로 올인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하는 KT
'클라우드도 결국 플랫폼'…포털 운영 노하우 살린 네이버

[편집자] 국내 산업계에는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위기와 기회가 공존했습니다. 항공, 자동차, 철강 등 전통의 뿌리 업종들은 코로나19 직격탄에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반도체, 가전 등 비대면 업종은 호황기를 누렸습니다. 그렇다면 2021년은 어떨까요. 전대미문의 불확실성 속에서 시작한 한 해. 주요 기업들의 사령관 면면을 통해 업종 간 사업의 향방을 가늠해 봅니다.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올해 350조원, 내년에는 410조원. 너무 커서 가늠조차 안 되는 이 숫자는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전망한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국내 시장 규모도 3조9700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장밋빛 전망만큼 경쟁도 거세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일찌감치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뛰어들었고, 보다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타사의 인터넷 데이터센터(IDC)에 입주하기 보다 직접 IDC를 지어 활용하고자 준비 중인 곳도 적지 않다.

국내 사업자들도 분발하고 있다. KT와 네이버는 클라우드 산업과 이를 지탱하는 IDC 산업에서 국내 사업자 중 1·2위를 다투는 경쟁자가 됐다. 글로벌 사업자들에 비해 고객 대응이 빠르고 직접 IDC까지 운영한다는 점이 두 회사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별점이다.

클라우드 사업에 각 사의 태생적 특징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는 점도 흥미로운 포인트다. KT는 통신사인 만큼 클라우드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유선 네트워크와 IDC가 가장 탄탄하고, 포털사업자로서 플랫폼 비즈니스에 강한 네이버는 이 같은 강점을 살려 고도화된 클라우드 서비스에 특화돼 있다.

◆유선 네트워크부터 클라우드까지 '올인원 서비스' 제공하는 KT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KT DX IDC 용산 [사진=KT] 2021.03.19 nanana@newspim.com

"KT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네트워크부터 IDC, 클라우드까지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장부터 직접 담아서 상 차리는 음식점인 셈이죠."

KT 관계자에게 자사가 가진 클라우드 서비스의 강점을 물었더니 돌아온 대답이다.

'탈통신'에 사활을 건 KT는 일찌감치 클라우드 및 IDC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 찍었다. 지난 1999년 서울 혜화에서 국내 첫 IDC를 개관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국립중앙도서관 3만개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인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KT DX IDC 용산'을 역시 국내 최초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연면적 4만8000㎡에 지상 7층, 지하 6층 규모로 IT부하 기준 서울권역 최대 규모다.

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처럼 KT는 통신사의 강점인 유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국내 최다인 13개의 IDC를 운영하고 있다. 클라우드 사업자들을 고객으로 가진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국내에 별도의 IDC를 구축하지 못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도 다수 KT의 IDC에 입주해 있다.

KT의 클라우드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리더 역시 통신사로서의 특징을 잘 알고 이를 사업에 녹여낼 수 있는 인물이 다. KT의 클라우드 및 IDC서비스를 담당하는 클라우드/DX융합사업본부장은 KT에서 오랜 기간 몸 담다 올해 임원으로 승진한 이미희 상무다.

이 상무는 KT에서 IT부문 인프라서비스단장과 플랫폼IT서비스단의 IT서비스혁신담당 등을 역임하며 사내 IT 부서를 두루 거친 클라우드 전문가다. KT의 특징을 잘 알면서도 IT서비스의 전 단계를 아우를 수 있는 적임자인 셈이다.

서비스의 첫단부터 끝단까지 제공하는 것은 고객사에 어떤 장점으로 작용할까? KT는 이에 대해 '가격'과 '서비스 품질'이라고 답한다. 각각의 서비스를 서로 다른 업체를 통해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하고 장애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수월하다는 것이다.

사업 성장세도 가파르다. KT에서 IDC, 클라우드, 인공지능(AI) 플랫폼, 블록체인 등을 포괄하는 AI·DX 사업의 지난해 연 매출액이 5507억원인데, 이중 클라우드·IDC 사업 매출만 4000억원에 달했다. 전년대비 성장률만 두 자릿 수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은 지난 2018년 이후 매년 20%에 가까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 클라우드 서비스에 그대로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각 세종 [자료=NAVER] 2021.03.19 nanana@newspim.com

김태창 네이버 클라우드 사업총괄(전무)이 이끄는 네이버클라우드 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상품군이다. 대표적인 플랫폼 사업자인 네이버는 클라우드 역시 플랫폼 비즈니스로 바라본다. 지난 2019년 네이버에 합류한 김 전무는 KT의 이미희 상무와는 사뭇 다른 이력을 가졌다.

김 전무는 이전에 주요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인 마이크로소프트, 휴렛패커드(HP)에서 클라우드 분야만을 계속 맡아온 클라우드 비즈니스 전문가다.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의 트렌드를 잘 읽어낼 수 있으면서도 경쟁사업자들과 차별화되는 네이버클라우드만의 강점을 살릴 수 있다.

김 전무의 지휘 아래 클라우드 상품의 전문화·다양화에 집중하고 있는 네이버클라우드는 총 17개 카테고리에서 177개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한·영·일·중 다국어 서비스가 가능하고 공공 및 금융 클라우드에 대한 별도 포털도 있다.

보안 인증도 국내 클라우드 기업 중 가장 많다. 네이버를 통해 쌓은 다양한 서비스의 보안 관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보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에 힘 입어 클라우드 사업과 협업 툴인 네이버웍스, AI 플랫폼 클로바가 포함된 매출은 지난해 기준 2737억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매출 규모만 떼어 내 알 순 없지만 연간 매출 규모로는 전년보다 무려 41.4% 성장한 수치다. 올해 목표는 지난해 매출대비 두 배 성장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해외 사례에서도 온라인 서비스를 해온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잘 하는 경우가 많다"며 "기본적으로 네이버라는 거대한 온라인 서비스가 항상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미션을 수행해오면서 쌓인 기술과 경험이 있기에, 이러한 점이 클라우드 사업에서도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역시 더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년까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을 완공할 예정이다. 네이버의 기존 데이터센터인 '각 춘천'의 5배 이상 규모에 6500억원이 투자된 이곳은 단독 기업의 데이터센터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네이버는 '각 세종'을 빅데이터를 활용해 클라우드와 AI, 로봇,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을 실현하는 시설로 계획하고 있다.

nana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