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쿠팡 대박났는데 '매출 역성장'에 씁쓸한 위메프·티몬...올해는 다를까

기사등록 : 2021-04-20 06: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위메프·티몬, 지난해 매출 '뒷걸음질'...쿠팡, 13조 클럽 가입 '대조적'
티몬, 올 하반기 목표로 IPO 추진...'매출 감소세에 발목' 분석도
위메프 '플랫폼 고도화' 속도...반전 실적 쓸까?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2010년 소셜커머스로 출발한 쿠팡과 위메프·티몬은 지난해 실적이 크게 엇갈렸다. 쿠팡은 지난해 매출이 급증하고 영업적자도 개선하며 미국 증시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상장 초기 시총 가치만 100조원에 육박했다.

반면 위메프·티몬은 씁쓸한 표정을 짓고 있다. 코로나19 특수를 제대로 누리지 못한 채 매출이 후퇴한 탓이 크다. 다만 올해는 실적 반전을 꾀하고 있다. 티몬은 기업공개(IPO), 위메프는 체질 개선을 통해 재도약을 시도하는 만큼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 두 마리 토끼를 잡을지 주목된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쿠팡 창업주인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사진 왼쪽부터), 하송 위메프 대표이사, 이진원 티몬 대표이사. [사진= 각사] 2021.04.19 nrd8120@newspim.com

◆위메프·티몬, 지난해 매출 '뒷걸음질'...쿠팡, 13조 클럽 가입 '대조적'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위메프와 티몬의 지난해 매출은 각각 3853억원, 151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하면 위메프는 17%, 티몬은 15%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온라인 쇼핑시장이 코로나19 여파로 반사이익을 누린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통계청이 공개한 지난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61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가량 급증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코로나19가 온라인 소비를 촉진한 결과다.

쿠팡은 온라인 쇼핑시장의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려 호황을 누렸다. 위메프와 티몬과는 상반된 성적이다. 지난해 쿠팡의 매출은 전년 대비 85.2% 급증한 13조2500억원이다. 2010년 창사 이래 매출 13조 클럽에 가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거래액도 22조원가량으로 추정된다. 이는 네이버쇼핑(27조원)에 이은 업계 2위를 기록했다.

쿠팡과 위메프·티몬의 실적이 극명하게 갈린 것은 '사업구조 차이' 때문이다. 쿠팡은 직매입을 통한 생필품 위주로 사업을 전개해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쿠팡·위메프·티몬 실적 추이. 2021.04.19 nrd8120@newspim.com

소셜커머스 중심이었던 쿠팡은 2014년 '직매입을 기반으로 한 로켓배송을 도입하면서 다른 행보를 걸었다. 지난해 쿠팡은 사업 모델을 바꾼 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지난 한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커질수록 외출을 꺼리는 소비자가 늘었고 온라인 쇼핑시장으로 생필품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다. 

하지만 위메프와 티몬은 그간 강세를 보였던 여행·티켓 등 카테고리에서 부진해 매출이 후퇴했다. 코로나19로 하늘길은 막혔고 공연 시장도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큰 타격을 입었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실적의 희비는 사회 구조조적 차이로 인한 것"이라며 "코로나 이슈가 생겼을 때 직매입을 통한 생필품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한 쿠팡은 매출이 많이 늘었지만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는 소비가 침체돼 매출이 빠졌다"고 설명했다.

티몬은 최대주주인 사모펀드의 엑시트를 고려해 수익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쿠팡의 아마존식(式) 전략과는 괴리가 발생했다. 위메프는 지난해 수장 공백으로 시장 대응이 지연되면서 매출에 타격을 입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티몬, 올 하반기 목표로 IPO 추진...'매출' 감소세에 발목 잡히나?  

지난해 기대에 못미치는 매출을 기록한 두 회사는 새 먹거리 발굴에 착수했다.

티몬은 연내 기업공개(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해 신사업 발굴에 힘을 쏟는다. 일단 이른바 '테슬라 상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 테슬라 상장은 적자 기업이라도 성장성이 있으면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제도다.

시가총액 300억원 이상, 벤처기업의 경우 연간 매출이 5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연간 매출이 30억원을 넘고 직전 2년간 매출 증가율이 평균 20%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티몬은 일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연내 상장 목표는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가장 큰 장애물은 '2년간 매출 증가율' 요건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티몬의 매출은 성장은커녕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18년 매출은 5007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고 지난해에도 15% 줄어 2년째 악화일로다.

1조원이 넘는 영업적자도 상장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작년까지 누적된 적자로 인한 결손금은 1조163억원에 달한다.

상장을 위해 거래소가 자본잠식을 일부 해소할 것을 권고했지만 아직 자본잠식도 해소하지 못했다. 지난해 말 기준 티몬의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6190억원으로 전년(5506억원)보다 오히려 확대됐다. 지난해 3050억원 투자를 유치한 만큼 어느 정도 자본잠식은 해소가 가능해 상장에 있어 문제는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티몬의 상장 작업도 지지부진하다. 지난해 4월 상장 주관사로 미래에셋증권을 선정하고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쿠팡 창립멤버인 유한익 이사회 의장이 사임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상장 절차에도 비상이 걸렸다. 유 의장은 2017년 티몬에 입사해 주로 투자 유치와 신사업 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아 왔다.

티몬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목표로 IPO를 추진하고 있다"며 "주력 서비스인 타임커머스를 보조할 수 있는 신사업을 추진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한익 의장의 사임과 관련해서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선을 그었다.

위메프 사옥 [사진=위메프]

◆위메프 '플랫폼 고도화' 속도...반전 실적 쓸까

위메프는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 위메프는 지난해 6월부터 수장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올해 2월 하송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앉힌 이후 '플랫폼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고 몸집 불리기에 나선 상태다. 2019년 하반기에 확보한 투자금 3700억원 대부분을 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투자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미 일부 자금은 갤러리아백화점과 롯데백화점과의 제휴나 사용자 편의 개선, 상품 분류 및 노출 알고리즘 개발 등에 썼다.

또 유통 업계에 바람이 불고 있는 '합종연횡' 방식으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앞서 지난해 2월 갤러리아와 롯데백화점과 잇달아 제휴를 맺고 160만개에 달하는 백화점 브랜드 상품을 위메프와 연동시키는데 성공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수요가 급증한 신선식품 카테고리도 강화했다. 위메프는 지난해 10월부터 '갓신선' 프로젝트를 출시하고 생산 현지와 소비자를 바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지난 달부터는 GS프레시몰과 제휴를 통해 운영 중인 마트당일배송관에서 새벽 배송 서비스도 시작했다.

위메프 관계자는 "사용자 관점에서 특가 큐레이션 차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특가 플랫폼 전반에 대한 체질개선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는 동안 '특가=위메프'란 고착화된 이미지가 희미해지면서 시장 경쟁력도 함께 잃어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새로운 활로를 찾지 않으면 매출을 끌어올리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위메프는 올해도 플랫폼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수익성에 집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현재 뜨고 있는 생필품 가격과 배송 부분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올해도 외형 성장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nrd812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