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시황·추가 발주 호재 겹친 HMM…장기계약 묶인 팬오션은 '우울'

기사등록 : 2021-04-29 07: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SCFI 2976.76으로 3개월 만에 최고치…BDI도 고공행진
1년마다 계약하는 컨테이너선에 비해 벌크선 5~10년 장기계약
정기선 비중, 팬오션 50% vs 대한해운 90%…팬오션은 2분기 개선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해운 운임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에 이어 벌크선 운임까지 고공행진하면서 업계 전반이 긍정적인 흐름이다.

다만 업계 내 온도차는 있다. HMM 등 상대적으로 시황 반영이 용이한 컨테이너선사에 비해 팬오션, 대한해운 등 벌크선사는 장기 계약 비중이 높아서다. 지금처럼 시황이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아쉬운 지점이다.

◆ SCFI·BDI 최고치 경신…운임 반영 용이한 HMM, 팬오션·대한해운은 5년 이상 정기선 절반 이상 

29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컨테이너선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3일 기준 2976.76으로 전주(2833.42) 대비 5.2% 올랐다. 지난 1월 역대 최고치(2885)를 경신한지 3개월여 만에 최고치 돌파다. 같은 날 벌크선 운임을 나타내는 건화물선운임지수(BDI)는 2788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이어가고 있다.

SCFI가 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이유는 미국과 유럽의 선박 적체현상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미국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작년 하반기부터 수입 물량이 급증하며 항만 대기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감염병 확산으로 항만 근로자들이 제대로 근무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운임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럽 역시 수에즈 운하 사고 이후 한꺼번에 선박이 몰리면서 곳곳에서 적체가 발생하고 있다.

BDI의 경우 중국의 철강 생산 수요가 늘어나며 운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당분간 벌크선 공급 증가가 제한적일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운임 오름세가 지속될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반면 해운사들의 수혜는 업체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운임 상승이 실적에 가장 많이 반영되는 곳은 컨테이너선사인 HMM이다. HMM의 경우 장기 계약 비중이 전체 선복(선박 적재 용량)의 50~60%를 차지하지만 계약 기간이 보통 1년이어서 운임 반영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특히 주로 3~4월에 1년 계약 운임이 결정되기 때문에 해운사들이 협상력을 갖기 좋은 상황이다.

반면 벌크선 장기계약 기간은 최소 5년에서 10년이다. 현재 운임수준을 당장 계약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다만 벌크선사 가운데서도 차사이는 있다. 팬오션의 경우 전체 선복의 50%~60% 수준을 장기계약인 전용선으로 운영한다. 나머지 절반 가량의 선박은 현재 운임에 맞춰 계약하는 단기 운영 선박이어서 어느 정도 실적이 반영된다. 반면 90% 가까운 선복을 전용선으로 운영하는 대한해운은 상대적으로 운임 상승을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다.

팬오션 관계자는 "정기 노선으로 움직이는 컨테이너에 비해 벌크는 화주가 요청할 때 움직이기 때문에 단기 운송 수요가 안정적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면서도 "다만 사업구조상 단기 영업 비중이 높은 만큼 2분기 실적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만6000TEU급 컨테이너 1호선 'HMM 누리호'가 싱가포르항에서 화물을 가득 채우고 유럽 출항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HMM]

◆ HMM 추가 발주 확정시 선복 100만TEU 넘어…팬오션 실적은 2분기부터 개선 전망

업체 마다 다른 사업구조로 인해 실적 전망도 엇갈리는 상황이다. HMM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9352억원으로 3개월 전(4317억원)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랐다. 반면 팬오션은 557억원에서 569억원 2% 증가에 그쳤다. 대한해운의 경우 342억원에서 365억원으로 6.3% 줄었다.

다만 팬오션은 현재 BDI 상승세가 2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실적 전망치 역시 641억원에서 702억원으로 10% 가까이 늘었다.

HMM의 경우 운임 상승 외에 선복 확대도 예정돼 있다. 정부는 최근 HMM에 1만3000TEU(1TEU=6m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 12척 발주를 위한 금융지원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실제 선박이 발주될 경우 HMM의 총 선복 규모는 101만2000TEU까지 올라간다. 현재 인도 중인 1만6000TEU 선박 8척 인도가 마무리되면 확보되는 85만6000TEU보다 20%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최근에 인도받거나 발주하는 선박은 연료 효율이 높다는 게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같은 규모 선박이라도 운송비가 30~40% 절감돼 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미국에서 백신 보급률이 높아지면 항만 적체가 일부 해소될 수도 있다. 업계는 하반기에는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세가 일부 꺾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운임이 연일 고공행진하면서 업계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며 "당분간은 업황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운임 변동성이 큰 만큼 향후 움직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