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ANDA칼럼] 편의점 1위 GS리테일, '제2의 남양유업'이 되지 않으려면

기사등록 : 2021-05-06 14: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김정태 산업2부장 겸 부국장= 범(凡) 유통 업계에도 '젠더 혐오'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GS리테일의 편의점 업체 GS25가 주관하는 행사 포스터에서 남성 비하 표식 의혹을 산 게 대표적이다. 이윤 추구에 목적이 있는 기업 특성상, 물론 의도적이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믿고 싶다. 하지만 제작과정에서 사회적 논란에 있는 젠더 이슈를 간과 또는 묵인한 것은 분명 회사에 책임이 있다.

이 회사의 대표는 가맹점주들에게 사과문을 통해 결과적으로 불매운동으로 인한 피해를 입힌 점에 대해 고개를 숙였지만 파문이 쉽사리 진정되지 못하고 있다.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며 정작 분노한 2030 남성들에겐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듯하다. 사과의 대상을 특정하지 않은 '고객'이란 표현도 그렇고, 문제가 되는 표식을 두고 제대로 된 해명없이 두루뭉술하게 사과문을 올렸다. 게다가 논란의 포스터를 두 차례 수정했음에도 '남혐 표식' 이 추가되면서 대표이사의 미숙한 사과가 되레 화를 키우는 형국이다.

 

언론계에선 그간 이 회사의 경영 행보를 봤을 때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반응이다. 세상의 흐름을 제대로 보지 못한 소통의 부재는 사내에서도 벌어졌다. 젠더 이슈로 사과한 이 회사의 대표는 지난해 엄중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직원들이 불가피한 재택근무임에도 강한 질책성 발언이 논란이 됐다.

그는 임직원이 포함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단체대화방에서 "재택근무를 따지는 구성원은 회사를 파멸시킨다"면서 "12월 내로 변하지 않으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글을 올린 것이 직장인 익명게시판 애플리케이션(앱)인 '블라인드'에 공개되면서 파문이 일었다.  이같은 발언은 최고경영자(CEO)로서 직원들의 영업 독려 차원이라는 GS리테일 측 해명이 있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는 시기에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무리수를 두는 GS리테일의 행태에 대해 네티즌들과 소비자들의 질타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편의점 3사 모두 '콜라보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경쟁도 치열해졌다. 이 과정에서 이 회사는 화학제품의 브랜드를 차용한 스파클링 음료를 출시하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식품과 인체에 해로운 화학제품의 포장은 엄격히 구분돼야 한다', '재미로만 보기에는 위험한 제품'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회사 측은 소비자들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여 신중을 기하겠다는 원론적 답변으로 문제의 본질을 피해갔다.

이 회사는 지난해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납품업체 갑질로 철퇴를 맞았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랄라블라는 공정위로부터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 혐의로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0억5800만 원을 부과받았다. 납품 업체들에게 수십억 상당의 제품을 '부당반품'하고 납품업자에게 판촉 행사비용을 떠넘기거나 행사비용 명목으로 수억 원의 돈을 떼는 등 대기업의 전형적 갑질 행태를 보였다. 또 이 회사가 운영하는 GS슈퍼 역시 갑질 사례를 열거하기에는 더 했으면 더 했지, 결코 약하지 않다. 공정위로부터 같은 법 위반으로 과징금 53억9700만 원을 부과 받은 것이 이를 반증한다.

이 정도면 '갑질의 종합세트'라는 지적이 나올 만 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회사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평가하는 동반성장지수에서 4년 연속 우수 등급이상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에는 유통업계 최초로 최우수 등급을 받기도 했다.

거듭되는 갑질에 이어 국민을 상대로 코로나19 마케팅을 벌이려다 역풍을 맞은 남양유업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 한다. 한때 유가공업체 1,2위를 다투며 자부심을 가졌던 남양유업의 오너는 결국 국민들 앞에서 눈물을 글썽이며 자신과 가족 모두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지 않았는가.

기업계는 현재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의 약자) 경영'의 열풍이 불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시대에서 환경파괴, 산업재해, 재난, 금융사고 등 부정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른바 '착한 기업'이 각광을 받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GS그룹도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치했다. 특히 허태수 회장은 고객과 시장의 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혁신해 갈 것을 계열사 CEO들에게 강조해 왔다.

계열사 CEO의 거듭된 잡음과 갑질 종합세트라는 오명이 반복된다면 허 회장의 주문은 공허한 메아리 일뿐만 아니라 '제2의 남양유업이' 되지 말란 법도 없다.

dbman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