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인간 뇌 닮은 '초대규모 AI'...네이버·LG 등 국내기업, 기술 주도권 잡는다

기사등록 : 2021-05-25 13: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초대규모 AI, 인간의 뇌 구조 닮아...글로벌 기술 경쟁 치열
네이버·LG·KT 등 대규모 기술 투자와 연구 진행
네이버, 25일 오후 초대규모 AI 개발 성과 공개할 예정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국내 대표 전자·IT기업들이 인공지능(AI)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한 '초대규모(Hyperscale) AI'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네이버와 LG, KT 등은 활발한 산학협력과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글로벌 AI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각오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초대규모 AI'는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특정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종합적이고 자율적으로 사고, 학습, 판단, 행동하는 인간의 뇌 구조를 닮은 AI를 의미한다. 단순 명령어에 반응하는 정도가 아닌, 사람처럼 학습하고 판단하는 수준의 AI 시스템이다.

[제공=네이버]

현재 기업들이 기술 개발 기준으로 삼고 있는 초대규모 AI는 미국 AI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GPT-3'다. GPT-3는 1750억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파라미터란 인간 뇌에서 뉴런을 연결해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냅스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파라미터 규모가 커질수록 AI 지능이 높아진다.

GPT-3는 방대한 양의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고 에세이나 소설도 창작할 수 있다. 이처럼 초대규모 AI는 기존 AI의 한계를 뛰어넘어 각 분야의 '상위 1% 인간 전문가' 수준 역량을 보유한 차세대 AI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오픈AI는 물론, 구글과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화웨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앞 다퉈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특히 화웨이는 최근 GPT-3를 뛰어넘는 최대 2000억개 수준의 파라미터를 가진 초대규모 AI '판구 알파(PanGu Alpha)'를 공개하기도 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국내 기업들도 최근 초대규모 AI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네이버는 이날 오후 'NAVER AI NOW' 행사를 열고 초대규모 AI 모델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네이버는 초대규모 AI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노력과 다양한 협력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 슈퍼컴퓨터 도입 이후의 진행 상황과 성과, 계획 등을 공유한다. 아울러 초대규모 AI의 기능과 역할은 물론, 한국어 데이터 학습 과정, 검색이나 인공지능 비서 등 여러 서비스에 적용되는 원리를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서울대, 카이스트와 협약을 맺고 초대규모 AI 분야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서울대-네이버 초대규모 AI 연구센터', '카이스트-네이버 초창의적 AI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향후 각각 수백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17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AI 토크 콘서트'에서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에 1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제공=LG]

구광모 회장 지휘 아래 AI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LG도 최근 초대규모 AI 개발에 향후 3년간 1억 달러(약 1100억원) 이상 투자 계획을 밝혔다.

LG AI연구원은 초대규모 AI 개발을 위해 1초에 9경5700조번의 연산 처리가 가능한 글로벌 'Top 3' 수준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LG는 GPT-3가 보유한 1750억개 파라미터의 3배를 넘어선 6000억개 파라미터를 갖춘 초대규모 AI를 올 하반기 공개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조 단위 파라미터의 초대규모 AI도 개발할 예정이다. 글로벌 제조기업 중 이 같은 규모 개발은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LG는 초대규모 AI를 통해 상담서비스 품질 향상, 제품 개발 프로세스 단축 등 고객가치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KT 역시 최근 카이스트와 AI 기술 개발을 위해 손 잡고 'AI·SW 기술 연구소' 설립에 나섰다. KT와 카이스트는 KT가 보유한 대덕2연구센터에 'AI·SW 기술 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연내 공식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KT는 네이버와 LG보다 다소 늦게 개발에 뛰어든 만큼,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기술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각오다.

이외에도 카카오, SK텔레콤 등도 초대규모 AI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 등 국내 기업들의 '총성 없는 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내 기업들도 초대규모 AI 기술에 있어서 글로벌 기업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본다"라며 "현재 GPT-3를 기반으로 둔 서비스가 이미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업체들의 초대규모 AI 기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