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지난해 코로나 여파로 전자상거래(e-커머스) 시장이 호황을 누렸지만 11번가는 흑자 경영 1년 만에 다시 적자 전환하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작년과 올해 1분기까지 매출액 증가 폭이 2% 안팎에 그치면서 성장세도 크게 둔화된 모습이다.
이처럼 부진한 실적이 계속 이어지면서 기업공개(IPO) 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때 제기됐던 매각설도 최근 다시 돌고 있다.
11번가 로고. 2020.02.25 nrd8120@newspim.com |
◆11번가, 1년 만에 적자 전환...IPO 속도조절론 대두
26일 업계에 따르면 11번가의 지난해 영업손실액은 98억원을 기록하며 1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직전 해인 2019년에는 14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섰다.
외형 성장도 기대에 못미쳤다. 작년 매출액은 54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하는데 그쳤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11번가 실적 추이. 2021.05.25 nrd8120@newspim.com |
지난해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폭풍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저조하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61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1% 증가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다른 이커머스 업체들의 성장세가 가팔랐다. 쿠팡의 매출은 13조25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91% 급증했다. 후발주자인 신세계그룹의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의 매출 증가 폭 역시 절반 이상인 53.3%나 뛰었다.
11번가 거래액도 10조원으로 추산돼 1년 전보다 14% 증가에 그쳤다. 점유율도 6%에 불과하다. 이커머스 업계 1위인 네이버(17%)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11번가가 적자 행진을 이어온 데다 성장세 역시 둔화된 만큼 IPO 추진 속도가 더뎌질 수도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모기업인 SKT가 비상장 계열사의 IPO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원스토어, ADT캡스, 11번가 순으로 IPO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원스토어와 ADT캡스는 현재 상장 일정이 가시화되면서 11번가 상장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내년쯤 상장할 수 있다는 예측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다만 SKT가 지난 4월 인적분할을 하면서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는 평가다. 11번가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사내에 'IPO추진팀'을 꾸리며 상장에 상당히 적극적이었다. 신설된 IPO추진팀은 상장 전략을 수립하고 상장 요건 사전정비, 외부 기업설명회(IR) 활동, 공모 절차 등 상장 추진에 필요한 실무 전반을 담당하도록 짜여졌다.
다만 인적분할 계획을 발표할 당시 계열사 상장 전략도 함께 제시했는데, 여기에 SKT의 11번가 상장에 대한 속내를 엿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 SKT는 IPO를 추진할 계열사를 나열하는 과정에서 11번가를 이전보다 후순위에 배치해 상장 시기 조절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실제 이번 발표에서 웨이브와 티맵모빌리티 등이 새롭게 IPO 후발주자로 거론됐다. 티맵모빌리티는 지난달 초 4000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상장이 예상되는 계열사 명단에 새롭게 추가됐다.
11번가 조직 내부에서는 이를 놓고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11번가 관계자는 "인적분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IPO 추진 계열사들을 나열했는데 11번가가 후순위로 밀려났다"며 "내년에도 IPO를 추진할지 알 수 없다. 2023년까지는 가봐야 알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언급한 2023년은 11번가의 상장 마감기한이다. 2018년 6월 당시 나인홀딩스(H&Q코리아 등)가 5000억원 투자하면서 5년 내 IPO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이에 SKT도 2018년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5년 안에 상장하겠다"고 못박은 바 있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11번가 주주 구성 및 지분 구조. 2020.12.15 nrd8120@newspim.com |
◆아마존 협업 결과물 6개월째 '감감무소식'...일각선 '매각설'도 솔솔
최근 11번가의 '상장 속도조절설'이 대두되는 것은 실적 부진이 영향을 줬다는 의견이 많다. 최근 실적이 좋지 않고 수익성마저 떨어진 데 따른 것이란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사업 제휴를 맺은 아마존과의 협업 결과물이 6개월째 나오지 않으면서 파급력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고 있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 상반기나 7월 중으로 서비스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했었다.
서비스가 출시되지 않는 배경을 놓고도 해석이 분분하다. 아마존이 요구한 빠른 배송 속도를 맞추지 못하면서 서비스 도입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한편에서는 SKT가 아마존 프라임과 같은 서비스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11번가가 아마존의 해외직구 서비스를 적용하는 건 그리 어려운 작업이 아닌 만큼 6개월이나 걸리는 건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가장 큰 원인은 SKT가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와 같은 구독 서비스를 선보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아마존 프라임은 아마존이 운영하는 통합 구독서비스다. 가입자를 대상으로 배송·미디어 플랫폼 이용·음악감상·커머스 할인 등 각 분야 서비스를 아울러 제공하는 식이다.
아마존 상자.[사진=로이터 뉴스핌] |
SKT도 올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한명진 SKT 구독형상품 CO장은 지난 11일 "새 구독 서비스는 아마존 프라임 같은 통합 구독 서비스 패키지를 기본으로 하고 추가로 여러 구독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월 구독료를 받는 모델을 생각 중이고 5000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11번가의 매각설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한때 매각설이 나돌았던 11번가는 쿠팡의 미국 상장 이후 다시 매각설이 불거졌다. 박정호 SKT 대표도 지난 3월 25일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쿠팡 상장 후 제일 많이 들었던 이야기가 '11번가 팔아라'라는 이야기였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쿠팡이 상장으로 5조원의 실탄을 확보한데다 네이버가 무서운 속도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11번가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짐에 따라 매각설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1번가 측은 상장 지연 가능성에 대해선 부인했다. 11번가 관계자는 "연초 IPO추진팀을 꾸렸지만 상장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며 "사전 대비하는 차원에서 조직만 만들어놓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저희는 상장 시기를 특정한 적이 없어 지연됐다고 할 수 없다"면서 "경쟁사들과 비교해 적자 폭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수익성 부분에서 크게 문제될 것 없다"고 덧붙였다.
nrd812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