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민경하 기자 = 우리나라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2년 연속 23위를 기록했다. 성장·투자·수출실적을 중심으로 한 경제성과 분야가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정부효율성 분야는 지표악화, 기업인 체감여건 악화 등이 겹치며 하락했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 산하 세계경쟁력센터(WCC)는 이날 '2021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를 통해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총 64개국 중 23위로 평가했다.
IMD 국가경쟁력 한국 순위변화 추이 [자료=기획재정부] 2021.06.17 204mkh@newspim.com |
이는 지난해와 같은 순위이며 지난 1989년 순위발표 이래 역대최고 순위인 22위에 근접한 수준이다. 또한 인구 2000만명 이상인 29개국 중에서도 역대 최고기록인 8위를 유지했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을 뜻하는 '30-50 클럽' 국가(7개국) 중에서는 미국·독일·영국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분야별 순위를 살펴보면 평가 4대 분야 중 '경제성과'가 27위에서 18위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어 '기업효율성'도 28위에서 27위로 소폭 상승했고 '정부효율성'은 28위에서 34위로 '인프라'는 16위에서 17위로 각각 하락했다.
경제성과 분야는 지난해 역성장 폭을 최소화하고 투자·수출실적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순위가 상승했다. 특히 올해 경제성과 개선과 함께 국내경제(5위), 고용(5위), 국제무역(33위)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순위 상승을 주도했다. 다만 물가 부문은 지난해 48위에서 51위로 하락했다.
정부효율성 분야는 재정(26위)분야 순위가 소폭 상승했으나 위기 장기화 영향 등으로 각종 지표들과 기업인 체감여건(49위) 악화 등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조세정책은 19위에서 25위로 하락했고 제도여건은 29위에서 30위, 사회여건은 31위에서 33위로 각각 하락했다.
IMD 국가경쟁력 평가 한국 4대 분야 20개 부문별 순위 [자료=기획재정부] 2021.06.17 204mkh@newspim.com |
기업효율성 분야는 지난해 여섯 단계 상승한 후 올해에도 소폭 상승했다. 생산성이 38위에서 31위로, 금융시장이 34위에서 23위로 각각 상승했다. 다만 노동시장 순위는 28위에서 37위로 하락했는데 위기로 인한 경활인구증가율, 사내 직업훈련이 기업 내 높은 우선순위인지 여부 등이 작용했다는 것이 기재부 설명이다.
인프라는 한 단계 하락했다. 과학인프라는 3위에서 2위로 최고수준을 유지했지만 기술인프라가 13위에서 17위로 하락했고 교육인프라도 27위에서 30위로 내려앉았다.
한편 전체 평가 1위는 스위스가 차지했다. 지난해 1위였던 싱가포르는 5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2위는 스웨덴이었으며 ▲3위 덴마크 ▲4위 네덜란드 ▲6위 노르웨이 ▲7위 홍콩 ▲8위 대만 ▲9위 UAE ▲10위 미국 순이었다. 중국은 16위, 일본은 31위를 기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오는 18일 '민관합동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우리경제의 강약요인을 분석하고 관련 정책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