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방송·연예

음저협, 방송채널사용사업자 표준계약(안) 마련…음악사용료 현실화 노력

기사등록 : 2021-06-25 11: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홍진영, 이하 한음저협)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및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콘텐츠사업자(CP)와의 계약 체결에 사용될 표준계약(안)을 마련하고 의견을 수렴한다.

한음저협은 25일 이해 당사자로 등록돼 있는 모든 PP와 CP에게 의견서 양식을 발송하고, 모아진 의견을 토대로 음악 사용료 산정의 기준이 될 표준계약(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1.06.25 jyyang@newspim.com

한음저협은 PP와의 계약이 종료된 2017년 이후 현재까지 PP와 음악저작물 이용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합의가 성사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저작권사용료 관련 갈등 때문이다.

한음저협에 따르면 우리나라 방송사업자가 지급하고 있는 음악 저작권료의 실질음악사용요율(방송사업 매출액 대비 음악저작권사용료의 비중)은 0.2%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해외 주요 선진국의 요율이 2~3%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국내 요율은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란 것이 한음저협의 주장이다.

한음저협 관계자는 "이번에 70여개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등과의 협의 끝에 도출한 표준계약(안)의 실질음악사용요율 역시 한국 방송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해외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책정됐다"며 "방송에서 차지하는 음악의 비중이 갈수록 커져가지만, 방송음악 사용료는 10년 넘게 제자리걸음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견서 양식을 받지 못한 일부 중소 PP와 CP의 경우 한음저협 방송팀 이메일로 문의해 양식을 받아볼 수 있다. 의견수렴 기간은 7월 5일까지다.

jyya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