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다시 뛰는 男心" 탈모샴푸부터 청결제까지...뷰티업계, '맨즈뷰티' 공략 사활

기사등록 : 2021-08-17 06:5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탈모샴푸부터 청결제까지 '뷰티템' 다양화...신규 브랜드 론칭도 활발
中까지 멘즈뷰티 시장 급성장...국내외 그루밍족 공략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뷰티업계가 남성 제품군을 강화하며 외모를 꾸미는 남성, 즉 '그루밍족'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국내를 넘어 최대 뷰티 시장인 중국에서까지 남성 뷰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기존 화장품업계와 브랜드 업체들까지 속속 뛰어들고 있다. 치열해지는 시장 경쟁 속에서 제품 범위 역시 기존 스킨케어 제품을 넘어 메이크업, 탈모샴푸 등 헤어제품까지 넓어지고 있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사진=비레디] 2021.08.13 shj1004@newspim.com

◆ 탈모샴푸부터 청결제까지 '뷰티템' 다양화...신규 브랜드 론칭도 활발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남성 뷰티 시장 규모는 1조40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2014년 1조1400억원에 불과했으나 2015년 1조1900억원, 2016년 1조2300억원, 2017년 1조28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후 남성의 스킨케어 및 색조 제품이 본격적으로 출시되기 시작한 2018년부터 최근 3년 간 2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맨즈케어 영역이 기초를 넘어 색조와 헤어 등으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최근 밀레니얼 남성을 타깃으로 하는 뷰티 브랜드 브로앤팁스는 최근 탈모 증상 완화 샴푸를 출시했다.

최근에는 국소부위 관리를 위한 남성 청결제까지 등장하면서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남성 바디케어 전문 브랜드 히즈클린은 남성청결제 션 출시 직후 올리브영에 입점한 것에 이어 히즈클린의 베스트 인기상품인 포맨 남성청결제도 올리브영에 입점했다.

주요 화장품 업체 외에도 로드샵부터 신규 브랜드의 런칭까지 이뤄지고 있다. 잇츠한불의 맨즈 코스메틱 브랜드 '퀘파쏘(Que Paso)'는 올해 초 신규 론칭하며 관리하는 힙한 남성을 위한 뷰티 케어 아이템 '쉐이빙 겸용 폼클렌저', '남성청결제', '매너 스프레이' 3종을 출시했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지난달 남성 뷰티 PB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 코스메틱 컬렉션'를 20~30대를 겨냥해 론칭했다. 그루답터는 클렌징폼, 남성 청결제, 섬유향수 등 스킨케어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성별을 구분하지 않던 젠더리스 브랜드가 남성 라인도 강화되고 있다"며 "앞으로 맨즈뷰티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한 가운데 주요 화장품 업체를 넘어 신규브랜드의 시장 공략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2021.08.13 shj1004@newspim.com

◆ 中까지 멘즈뷰티 시장 급성장...국내외 그루밍족 공략

맨즈 뷰티는 최대 뷰티 시장인 중국에서도 견고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뷰티업계가 관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얼굴의 값'을 의미하는 '옌즈(颜值)'문화가 유행함에 따라 남성들의 외모 관리 소비가 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남성용 스킨케어 화장품이다. 지난해 하반기 Kantar에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중국 남성의 샴푸, 바디워시, 얼굴 로션, 클렌징폼의 보급률은 각각 99%, 74%, 64%, 6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 남성 스킨케어 시장 규모는 80억 위안(한화 약 1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연평균 15.9%의 성장률로 2026년까지 207억 위안(한화 약 3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의 남성용 스킨케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배경은 국 남성의 인식 변화와 구매력 증가에 따른 남성들의 소비패턴 변화이다. 특히 중국 남성화장품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소수의 브랜드가 독과점한 형태가 아니다.

비록 로레알, 니베아, 시세이도와 같은 전통적인 화장품 강자들이 우세한 편이나 이외에도 맨소래담, 골프, 비오템, 국내의 이니스프리와 같은 브랜드가 공존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틈을 타 국내 주요 뷰티 기업들도 중국 남성 화장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자체 남성 메이크업 브랜드 '비레디'와 코스메틱 브랜드 '브로앤팁스'를 중국 주요 온라인 채널에 선보여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해 2월 중국 티몰에 소개된 비레디의 쿠션과 파운데이션 제품의 인기가 상당하다. 남성 피부에 맞는 쿠션 파운데이션, 컬러립밤 등이 주력 제품이다. 브로앤팁스 역시 샤오홍슈 계정을 따르는 팔로워만 약 6만명으로 중국에서 성장 중인 바디워시와 청결제 영역 중심이다.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인 '후', '숨' 등을 통해 남성용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역시 자체 브랜드 비디비치에서 '비디비치 옴므 블루 밸런싱 스킨케어'를 출시한 바 있다. 타오바오·티몰 남성 스킨케어 카테고리에서 클렌징폼 매출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을 주목해 클렌징폼과 에센스 스킨, 로션 등 기초 화장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앞으로도 뷰티업계는 국내외에서 그루밍족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의 남성용 화장품 시장은 '블루오션'으로 볼 수 있다"며 "여성 소비자와는 다른 남성소비자의 소비행태를 고려한 전략을 짜는 것이 필요한 가운데 앞으로 뷰티업계는 온라인 판매와 신매체 마케팅 등을 통해 그루밍족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hj1004@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