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8월 16일 오후 8시5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최근 미국의 경제 지표들이 기대 이상의 강력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 내에서 9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발표 쪽으로 분위기가 점차 기울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현지시각) CNBC는 최근 연준 위원들의 인터뷰나 공식 코멘트가 한달 전 시장이 예상했던 것 보다 더 이른 테이퍼링 발표를 점점 지지하는 뉘앙스라면서, 지난 두 달 사이 나온 강력한 고용지표와 높은 물가 지표가 연준 내 정책 판단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9월 테이퍼링 발표를 공식 지지한 위원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와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등이며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10월과 12월 사이 테이퍼링 시작을 지지한 상태라 9월 발표도 지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매체는 이들이 매파(긴축 선호)로 유명한 인물들도 아니며, 오히려 이 중에는 코로나 팬데믹 초반 연준의 경기 부양 필요성을 적극 피력한 인물도 있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물론 8월 고용 지표가 부진하거나 델타 변이로 인해 봉쇄 조치가 새롭게 취해진다거나, 혹은 인플레이션 지표가 다소 내려올 경우 연준이 테이퍼링 발표를 11월 회의로 미룰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난주 나온 기대 이상의 강력한 인플레이션 지표나 내년까지 이러한 고물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은 테이퍼링 조기 발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현재 시장 역시 테이퍼링 관련 예상을 바꾸며 연준이 조기에 나설 수 있는 운신의 폭을 주고 있다.
지난달 CNBC 연준 서베이에서 응답자들은 테이퍼링이 11월에 발표돼 내년 1월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지난주 실시된 로이터 조사에서는 테이퍼링 예상 시점으로 9월이 제시된 것이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 로이터 뉴스핌] |
연준 위원들의 판단과 시장의 기대치가 9월 발표 쪽으로 기울다보니 최종 열쇠를 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스탠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대개 일부 연준 위원들에 비해 더 도비쉬(완화 선호)한 스탠스를 보여 왔는데, 최근 강력한 경제 지표들이 나온 뒤로는 아직 공식 발언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7월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에 나서기 위해 필요한 상당한 추가 진전에 이르기까지 아직 남은 길이 여전하다고 밝혔지만 이는 7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이 94만3000건으로 월가 예상치 87만건을 대폭 웃돌았다는 소식이 전해지기 전에 나온 코멘트다.
매체는 최근까지 파월 의장의 주 관심사는 지난 2013년의 테이퍼 텐트럼(긴축 발작) 재연을 막는 것이었는데, 연준 위원들이 수 개월 째 테이퍼링을 언급했음에도 주식과 채권 수익률이 위를 향한 것을 보면 일단 그러한 파월의 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평가했다.
또 연준이 6월과 7월 회의에서 테이퍼링 논의 사실을 숨기지 않았던 만큼 실제로 9월에 테이퍼링을 발표해 10월이나 11월에 테이퍼링에 착수한다 하더라도 4~5개월의 노티스를 준 셈이어서 시장에 미리 신호를 줄 것이란 파월의 기준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매체는 9월 테이퍼링 발표 결정이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나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등과 같은 온건파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힐 수도 있지만 이러한 연준 내 이견은 흔한 현상이며, 오히려 시장은 테이퍼링 결정이 나오는 순간 첫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을 쏟아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예상 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지고 연준이 원하는 것보다 빨리 금융 여건이 경색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된다면 연준 위원들은9월21일~22일 진행될 다음 회의에서 테이퍼링을 발표하고 11월 테이퍼링을 개시하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부 위원들은 2022년 중순까지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