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미중전쟁' 중국 신에너지 반도체에 사활, 포스트코로나 5% 성장 거뜬

기사등록 : 2021-08-18 17:5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단기적으로 주식 시장 변동성 확대 전망
신에너지 반도체분야서 우수기업 나올 것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코로나19 방역 노력이 일상화하는 중에도 중국 경제는 앞으로 5% 이상의 성장을 달성할 수 있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명 경제학자 상하이재경대학 장퉁빈(張同斌)교수는 8월 12일 왕이(網易) 재경과 왕이 연구국이 개최한 이코노미스트 연회 포럼의 '주식 시장의 미래' 세션에서 단기적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투융자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밝힌뒤 다만 코로나 영향이 지속되는 중에도 중국 경제는 향후 5% 이상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퉁빈 교수는 중국 경제의 당면한 구조적인 문제로 호구(호적)와 인구증가율 둔화, 지방채 문제 등을 지적하고 이 부문의 개혁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중국은 향후 20년 6~8%의 중고속 성장도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장 교수는 중미 대립이 격화할 경우 신형 과기 산업과 신 에너지 등의 섹터가 유망 분야로 부상할 것이라며 중국은 5G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에서 비록 어렵고 시간이 걸리겠지만 숱한 우수 선발 기업들을 배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왕이 포럼 가운데 '주식 시장의 미래' 세션에서 장퉁빈 교수가 발표한 내용을 간추려 소개한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1.08.18 chk@newspim.com

 

주식시장은 당분간 변동성이 커질 것이며 단기 투융자는 리스크가 크다. 투자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21년 하반기 중국 경제는 비교적 안정 국면을 보일 전망이며 코로나19가 간헐적으로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중국은 당분간 5% 이상의 성장 템포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거시경제의 청우계인 A주 증시는 단기적으로 볼 때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주가지수 수익률은 후선 300(상하이증시와 선전증시 300) 수익률로 볼때 2000년~2015년 주가지수 수익률의 파동률 표준차이가 16%를 나타냈다. 이는 같은 기간 비국의 파동률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단기적으로 증시 예측이 어려움을 말해준다.

중국 경제는 향후 연간 5%의 성장률을 보이는 가운데 구조적인 문제로 호구와 인구 증가율 둔화, 지방채 문제 등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런 분야에서 개혁이 성과를 낼 경우 린이푸 교수(전 세계은행 부총재)의 관측대로 중국은 6%~8%의 중고속 성장을 20년 지속할 수도 있다.

중국은 국내적으로 코로나19 방역과 통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만에 하나 코로나19 영향이 커진다해도 중국은 신속히 통제를 할 수 있고 2020년 상반기와 같은 상황이 재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사진=바이두]. 2021.08.18 chk@newspim.com

과거 10년 동안 중국경제를 회고해보면 미래 경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중국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영향을 받은 이후 2010년 위기에서 벗어났다. GDP성장률은 12%에 달했다.

다만 과거 10년 중국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등 케인즈주의에 입각한 경제부양 방식을 취해왔다. 하지만 효과는 지속적이지 못했다. 2010년 12%의 성장률은 2019년 6%로 후퇴했다. 통화 재정 수단에 의한 성장 효과가 장기적이지 못하다는 증거다.

중국의 성장은 부동산과 사회기반시설(SOC) 등의 투자에 의해 견인돼온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이는 레버리지를 키우면서 많은 문제를 노출했다. 2018년 레버리지 통계를 보면 전체 채무 규모가 200여조 위안으로 GDP의 두배를 넘었다. 부동산 대출 등으로 가계 부문 채무 역시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의 과거 10년 성장 모델하에서 지방 정부 채무와 기업 채무, 가계 무문 채무는 대부분 부동산 시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결국 그동안 중국의 거시경제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레버리지 확대(부채 확대)를 통해 굴러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 경제의 성장속도는 현재 5.3% 수준까지 떨어졌다. 중미간 대치가 격화하는 상황에서 고성장은 신흥산업이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중미 대치가 전면전으로 격화하는 상황이 되면 과기 첨단 산업과 신에너지 분야가 한층 각광을 받을 것이다.

신에너지 자동차는 하나의 국가 전략상의 문제다. 중미 관계가 지금보다 한층 악화해 파국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면 석유 위기가 출현할 수 있고 중국은 석탄 사용으로 발전을 하는 상황에 이를수 있다. 이런 점에서 신에너지 섹터나 과기 분야는 국가 전략적인 문제라고 볼수 있다.

5G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반도체는 단기 발전이 어려운 영역이다. 특히 반도체 산업은 당장 반도체 인재의 단기 배출이 쉽지않은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비록 시간이 걸리겠지만 반도체 위기 이후 이 분야에 대한 투자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종국엔 이 분야에서 많은 기대주(유망 기업)들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1.08.18 chk@newspim.com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