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기 국제부장 =코로나19 재확산이 급속한 일본에서 일본 대표 작가인 무라카미 하루키가 7월 2020도쿄올림픽의 개막을 맞이한 즈음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당시 스가 총리는 코로나 팬데믹에 대해 "터널에 출구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무라카미는 "저는 스가 총리와 동갑이지만 출구 따위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스가 총리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있는 것 같다"고 쓴소리를 했다.
일국의 총리로서 또 영향력이 큰 작가로서 한마디 한마디 하면 '두루두루 살피는 자세' 나 '균형잡힌 시각' 과 같은 잣대가 이들의 발언을 잰다. 과연 누가 더 합당한 말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모두 터무니없는 말을 늘어놓고 있는지를 가늠하기 위해서다.
그냥 개개의 자연인으로 보면 두 사람 모두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했을 뿐이다. 자기가 보고싶은 것을 보고 믿고 싶은 것을 믿는 것이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 싶다.
그런데 이를 보도한 외신기사는 '나는 정말로 자기가 보고 싶은 것을 보고 하고 싶은 말을 하는가'라는 의문점을 던져준다. 이미 내 PC화면은 내가 한번쯤 검색했던 상품들의 선전으로 가득하고 구글뉴스를 봐도 '내가 좋아할만한 기사'(For you)라는 섹션에 기사들이 배열되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환경은 이미 인공지능이 지배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나아가 오프라인 환경은 어떨까.
지난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미국의 아마존이 백화점을 오픈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우선 미국 아이오와주와 캘리포니아주 등에 설치되며 그 규모는 약 3000㎡ 규모로 일반 백화점의 1/3 수준이라고 한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우리는 물건을 판매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판단을 도와 돈을 번다"고 말한 바 있다.
이같은 아마존의 움직임은 그간 소비자를 따라다니면서 정보를 수집하던 단계에서 이제 그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를 백화점으로 끌어들여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로 나아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화점 들어서면서 안내도에 손가락을 대면 바로 추천 동선 뿐만 아니라 내가 좋아할 만한 상품이 내 시각을 모두 빼앗을 것이 분명하다.
행태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에서는 '보이지 않는 고릴라(The Invisible Gorilla)'라는 이슈가 소개되고 있다. 그 요체는 좁은 공간에서 흰색팀과 검은색 팀 두팀이 각각 농구공 하나씩을 가지고 자기팀원끼리 쉴새 없이 패스를 하게 하고 이 때 고릴라 복장을 한 사람이 이들 사이를 지나가게 한 후 그 광경을 찍은 영상을 몇 사람에게 보여주면서 흰색팀과 검은색 팀이 각각 패스를 몇번했는지를 세어보게 하면, 패스 개수를 세는데 집중한 사람들이 지나가는 고릴라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농구공을 패스하던 팀원들은 당연히 고릴라를 눈치채지 못했다.
관심이 없으면 보지 못한다는 것을 여실히 드러내 주는 실험이다. 아마존의 백화점은 이런 인간의 경향을 파고드는 것은 아닐까. 한 외신은 '소비자의 판단을 돕는다'는 말을 '소비자를 백화점에 가두어두는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우려했다.
'과연 나는 내가 보고 싶은 것을 보고 있을까'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사회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미국 하바드 경영대학원 최초 여성교수 쇼샤나 주보프는 '감시 자본주의 시대'(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에서 "감시자(개인정보를 모으는 기업)들은 수십억명의 사람들이 즐겁게 사용하는 무료서비스를 이용해 종종 명시적 동의를 구하지 않고 그들의 행동에 대한 놀랍도록 세부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주보프는 "이들 감사자에게 개인정보보호를 요구하는 것은 마치 '기린에게 목을 짧게하라거나 소에게 되새김질을 포기하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우려했다. 그리고 '한때 우리가 구글을 검색했다만 지금은 구글이 우리를 검색한다'는 경고도 빼놓지 않았다.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