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플랫폼 독점 논란] 등돌린 여론에 규제까지…공룡 IT기업, 어디로?

기사등록 : 2021-09-22 06: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여론 악화·정부 규제, 국내 시장서 '뭇매'
'웹툰·웹소설·IP·블록체인'으로 해외 공략
8년 전 네이버도…카카오 회복 시점은?

[서울=뉴스핌] 김정수 기자 = 여론 악화와 정부의 규제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공룡 정보기술(IT) 기업들이 해외로 눈을 돌린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도마에 오른 카카오는 관련 사업을 정리하고 상생안을 마련하면서, 해외 시장 경쟁력 강화를 언급했다.

8년 전 네이버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네이버는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따른 후폭풍으로 관련 사업을 접고 상생안을 마련했다. 이후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섰다.

[사진 = 네이버, 카카오]

◆하나둘 정리하는 국내 사업…향후 계획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카카오는 주요 계열사 대표들의 전체회의를 통해 골목상권 논란 사업을 철수시켰다. 가장 논란이 컸던 카카오모빌리티의 일부 서비스를 조정했고 꽃·간식·샐러드 배달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어 5년간 300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 조성을 약속했다.

이후 카카오 측은 "콘텐츠와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웹툰 ▲웹소설 ▲IP ▲블록체인 등을 앞세워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웹툰 플랫폼 '픽코마'는 일본 웹툰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태국에서는 '카카오웹툰'이 네이버웹툰을 제치고 매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카카오는 최근 인수한 북미 웹소설 플랫폼 '래디시'와 웹툰 플랫폼 '타파스'를 두 축으로 북미 시장에 문을 두드릴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웹툰은 기존에 있던 아이템이 아니라 국내에서 개발한 독자적 사업으로 신규 시장을 계속해서 열고 있는 상황"이라며 "여러 경쟁 업체가 파이를 차지하는 상황이 아니라 카카오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현재 글로벌 웹툰 시장의 규모는 7조원 가량이다. 웹툰 IP를 통한 영화, 드라마 등을 제작한다면 시장 규모는 100조원에 육박한다. 카카오 역시 발걸음을 맞추고 있다. 카카오는 웹툰 IP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인사들을 영입하는 등 초석을 다지고 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 [제공=카카오]

카카오에서 웹툰과 웹소설에 걸고 있는 기대는 크다. 카카오의 해외 진출 사업 중 비교적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어서다. 현재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가 해외에 진출했지만 웹툰, 웹소설에 비하면 성장 속도가 느리고 수익 규모도 크지 않다.

카카오의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10분의 1 수준이다. 다만 카카오는 콘텐츠 영역에서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카카오 매출 부문을 살펴보면 콘텐츠 매출이 절반 이상인 만큼 해외에서도 웹툰과 웹소설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작에 역량을 결집, 성과를 창출해내겠다는 심산이다. 

카카오는 지난 8월 '크러스트'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업계에서는 해당 법인을 카카오의 '블록체인 전초기지'로 평가한다. 크러스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유망한 블록 체인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할 계획이다. 카카오에서는 관련 기업을 찾아내 해외 시장에 상장시키거나 자회사로 편입할 가능성을 염두하고 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크러스트 설립 당시 자회사 대표들을 불러모아 "제3의 창업을 해서 해외에서 제대로 돈을 벌어보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카카오보다 일찍 매 맞은 네이버…해외 투자 늘리며 국내선 상생 유지

네이버는 지난 2013년 맛집 추천·비교, 부동산 서비스 등에 진출하면서 중소상공인들과 충돌했다. 정치권에서는 '네이버 규제법'까지 추진됐다.

네이버는 논란이 확산되자 관련 사업 7개를 모두 접기로 결정했다. 당시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무리하게 국내에서 사업을 하기보다는 글로벌 사업을 우선하라"는 당부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네이버의 2013년 해외 매출 비중은 20%에서 지난해 30% 이상으로 늘었다. 네이버는 메신저 '라인'의 매출을 제외하고 글로벌 매출을 35%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네이버는 일본의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라인을 국내 기업 최초로 뉴욕·도쿄증권거래소에 동시 상장시키며 해외 영역을 넓혔다. 이후 네이버 웹툰과 스노우 등을 앞세워 해외 매출 비중을 높였다. 전 세계 2억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와 다운로드수 1억건을 기록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브이라이브' 등도 해외 실적을 견인했다.

이해진 네이버 GIO [사진=네이버]

네이버는 인수합병(M&A)과 전략적 투자를 통한 파트너십 제휴로 해외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 네이버는 세계 최대 웹소설 플랫폼인 '왓패드'를 인수하고 스페인 중고거래 1위 사업자 '왈라팝'과 동남아시아의 당근마켓으로 불리는 '캐로셀'에 투자했다.

네이버는 해외 사업에 비중을 높이면서도 갈등을 겪었던 내수 시장에서 중소상공인들과 협력 관계를 꾸준히 이어갈 전망이다.

네이버의 분수펀드는 지난 2017년 중소상공인들과 창작자들의 창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한 기금이다. 누적 액수는 3000억원을 넘어섰고 올해까지는 3600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해당 펀드는 네이버가 추진하고 있는 중소상공인 협력 기획 '프로젝트 꽃'의 기반 역할을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해외 매출 비중을 올리는 데 8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만큼 카카오도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카카오가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얼마나 유의미한 해외 실적을 거둘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freshwater@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