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포스코 'HyIS 국제 포럼 개최'...수소환원기술로 탈탄소 시대 연다

기사등록 : 2021-09-29 15: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정우 회장 '수소환원제철 기술' 공동 개발 제안
10개 철강사, 철강협회 등 총 29개 기관 포럼 참여
포스코 "대량의 그린수소 필요...파트너 발굴 중요해질 것"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사업을 신성장엔진으로 육성, 수소 생태계 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이를 위해 포스코그룹은 수소산업의 생산, 운송·저장, 활용 역량을 모두 갖춰 궁극적으로 글로벌 청정수소 생산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500만톤의 수소를 생산하고 30조원의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025년까지 부생수소 생산 능력을 연간 7만 톤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글로벌기업과 손잡고 수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 포집해 땅속에 저장하는 블루수소를 연간 50만 톤까지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오는 10월 6일부터 8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HyIS 2021 국제 포럼(Hydrogen Iron & Steel Making Forum 2021)'을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할 전망이다.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기업시민 선포 3년을 맞아 개최한 '기업시민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그룹]

◆ 최정우 포스코 회장 주도...'HyIS 포럼' 개최

'HyIS 2021 국제 포럼'은 포스코가 전세계 철강사를 한데 모아 수소환원제철 개발 동향과 저탄소 정책, 기술개발 협업에 대해 논의하는 수소환원제철 국제 포럼이다.

이번 포럼은 포스코가 ESG 흐름에 맞춰 전 세계 철강사들에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어젠다를 제시하고 그린철강 시대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은 새로운 시도다.

또한 수소환원제철이 단순히 한 기업이 이뤄야 할 신기술이 아닌, 탄소중립을 위해 전세계 철강사가 함께 모색해 나가야 할 공동의 과제이자 세계 제철 산업의 역사를 다시 쓰는 중대한 사안임을 인식하자는 취지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탄소중립 선언에 앞선 지난 2020년 4월 전세계 철강사와 함께 수소환원제철 공동 개발이라는 화두를 던진 바 있다. 당시 최 회장은 "포스코의 탄소 배출이 없는 제철기술 전략을 공유하고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을 전세계 철강사와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을 추진하자"며 세계철강업계간 협조를 요청했다.

이후 같은 해 5월 수소환원제철 포럼 개최를 제안했으며, 같은 해 9월 세계철강협회 TECO 회원사 투표로 포럼 개최가 확정됐다.

이에 따라 ▲일본제철 등 10개 철강사 ▲유럽철강협회(EUROFER) 등 3개 철강협회 ▲3개 원료사 ▲AIR LIQUIDE 및 WOODSIDE 등 수소 관련 2개사, ▲PRIMETALS, DANIELI, SMS 등 엔지니어링 5개사를 포함 총 29개 기관이 참여의사를 밝혔다. 포럼에선 각 사별 탄소중립 계획과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현황 등을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자료=포스코]

◆ 수소환원제철 기술 공개...그린수소 공급 역량 최대화

포스코는 포럼에서 파이넥스(FINEX) 유동환원로 기반의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과 차별화된 수소환원제철 기술경험을 공유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해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고, 철강을 생산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 기술은 철광석으로부터 철을 생산할 때,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하는 혁신적 기술로 화석연료인 석탄을 사용하지 않아 이산화탄소 발생도 제로에 가까운 셈이다.

포스코는 "환원제로 석탄 대신 수소를 쓴다는 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아주 간단한 변화처럼 보이지만, 사실 매우 커다란 변혁의 시작"이라며 "수소환원제철을 위해서는 기존 탄소환원제철법에 열원으로 사용하던 석탄 대신 고온의 수소가 필요하다. 수소는 폭발성이 높은 기체로 이를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다루는 것은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이라고 말했다.

철광석을 환원하여 환원철(DRI)을 만드는 설비인 유동환원로는 포스코 고유 기술인 파이넥스 공정에서 찾을 수 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는 가루 형태의 철광석과 석탄을 고로에 넣지 않고, 유동환원로와 용융로라는 설비를 통해 쇳물을 생산한다"라며 "다만 수소환원제철과의 차이점이라면 파이넥스는 공정 중에 발생하는 수소 25%와 일산화탄소 75%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반면, 수소환원제철은 수소를 100%를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어 "수소환원제철을 위해서는 대량의 그린수소가 필요한데, 이는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야만 얻을 수 있는 귀한 재료"라며 "수소환원제철은 기존의 고로와 전로 자리에 수소유동환원로와 전기로가 들어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포스코]

한편 포스코는 수소의 생산 측면에서, 현재 생산 역량을 보유한 부생수소(그레이수소)를 시작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하는 블루수소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수소까지 공급 역량을 국내 최대급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2050년 수소환원제철을 포함한 산업용 수소가 전 세계 수소 수요의 18%를 차지할 거라고 전망했으나, 수소환원제철의 상용화를 위해선 연구개발과 실증, 산업용 수소 단가 현실화, 수소 공급망 구축 등 선행돼야 할 과제는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의 기본 개념은 '그린 수소를 전제하고 있으나 그린 수소를 자체 생산할 수 없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는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호주와 중동 지역에 의존도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향후 이들 지역과의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 참여 및 파트너사 발굴의 중요성도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giveit90@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