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기자수첩] 통신사의 탈통신 부추기는 사회

기사등록 : 2021-11-17 1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통신사·SO서 네트워크조직은 '비용부서' 취급
네트워크가 비용된 건 낮은 통신·방송요금 탓도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신입 면접 때 면접관이 '네트워크조직은 비용을 축내기만 한다'면서 '네트워크조직도 회사의 영업이익과 매출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언급한 게 잊히지 않네요."

지난달 한 통신사의 유무선 통신장애가 벌어진 후 직장인 익명 애플리케이션 '블라인드'에서는 "통신사를 불문하고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이 속출했다. 네트워크가 근간이 될 통신회사에서 네트워크 관리 조직을 등한시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비단 통신사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난달 사고로 출범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네트워크 안정성대책TF의 점검 대상인 케이블TV(SO) 업체들에서도 비슷한 증언이 쏟아진다. 매뉴얼에 적힌 교체주기대로 장비를 교체하겠다고 결재를 올리면 "별문제없는데 정말 다 교체가 필요하냐"고 되묻는다 한다. "안 바꿔도 티는 안 나는데 매뉴얼대로 바꾸면 돈이 많이 드니, 장애 나기 전까지는 최대한 비용을 줄이려는 것 아니겠어요?"

그동안 탈통신을 외치던 통신사들은 이제 "통신이 기본"이라고 말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사내문화가 쉽게 바뀔 리 만무하다. KT의 경우 사내에서 당장 내년부터 적용될 임금단체협상에 네트워크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긴급출동보전비를 초과근무수당체계에 합친다는 항목을 두고 직원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야간작업으로 초과근무가 많았던 현장직원들의 임금을 줄이려는 것 아니냐고 주장한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와 KT측은 지난달 통신장애가 야간작업을 기피하려는 현장직원의 일탈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는데 내년부터는 야간작업을 더 꺼리게 만들 이유가 하나 더 추가되는 셈이다.

통신사 경영진들의 무사안일주의나 실적지상주의는 물론 네트워크관리를 '비용'으로 만들어버린 직접적인 이유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통신사들이 꾸준히 수익을 가져다주는 통신사업을 두고 자꾸 신사업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게 만드는 구조에 있다.

우리나라는 케이블TV가 월 5000원대, 인터넷(IP)TV는 월 1만원대 요금인데 미국 1위 통신사 AT&T가 제공하는 유사한 상품의 유료방송서비스는 월 69.99달러(한화 약 8만2000원)다. 대선 때면 후보를 막론하고 가계통신비 인하 공약을 내세우지만 사실 가계소비지출 중 통신비 비중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그나마도 단말기 가격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이통3사가 가져가는 통신서비스 요금은 더 감소하는 중이다.

얼마 전부터 KT는 고객보상 전담지원센터를 통해 통신장애 보상금액을 이용자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각계에서는 보상금이 터무니없이 적다는 지탄이 거세다. 정부에서는 오래된 통신서비스 약관을 뜯어고쳐 의무적인 손해배상이 이뤄지는 서비스 장애 기준을 단축하겠다고 한다.

한 시간 넘게 음식점 앞에서 결제도 안 되고 전화도 안 돼 발을 동동 굴렀던 경험은 분명 수천원으로 위로되지 않는다. 소상공인이라면 실질적인 재정적 피해도 입었을 것이다. 모든 것이 연결된 비대면 시대에 맞춘 약관 개정도 분명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 모든 일들이 결국 통신사의 탈통신 신사업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기우일까.

nanan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