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외교부가 요소수 등 공급망 문제와 미중갈등을 비롯한 글로벌 전략경쟁, 디지털과 친환경에너지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안보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한 '경제안보TF(태스크포스)' 팀장을 경제외교조정관(차관보급)으로 격상하고, 규모도 경제외교를 담당하는 국제경제국, 양자경제외교국, 기후환경과학외교국 3개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19일 이성호 경제외교조정관 주재로 제1차 '경제안보TF' 회의를 개최하고 요소수 등 시급한 수급 교란 문제를 점검하는 등 경제안보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기존 경제안보TF 팀장은 심의관급이 맡았고, 조직도 양자경제외교국 내로 한정됐었다.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 [사진=뉴스핌 DB] |
외교부는 "'확대 경제안보TF'는 단기적으로는 요소수 등 공급망 교란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외교부 본부-재외공관-유관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하는 '팀 코리아' 협업 체계를 통해 체계적인 '대외 위기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확대되는 경제안보TF 산하에는 ①공급망 ②디지털·신흥기술 ③ESG(환경·사회·거버넌스) 분과를 신설해 경제-기술-가치-안보가 융합된 사안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확대된 TF는 기존 외교부 직제를 초월하는 매트릭스(matrix) 구조로 운영할 방침이다. 외교부가 지금의 조직 체계에서 별도의 TF를 구성하는 이유는 당면한 경제안보 이슈들이 현재 외교부 본부 국조직 업무와 매치가 안돼 TF 형태로 보다 유연하게 접근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TF 확대 배경에 대해 "이번 요소수 상황도 그렇지만 진짜로 피부에 와닿게 우리 현실에 다가오는 부분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기존 조직 체계로 대응하기에는 유연하지 못하고 미싱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며 "그래서 차제에 크게는 공급망, 디지털 신흥기술, ESG 이렇게 세 가지 큰 메가트렌드에 맞춘 분과를 이 TF내에 설치해서 이머징 이슈에 대해 유연하게 빨리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이번에 확대 격상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본질적으로는 외교부의 힘은 본부의 조율 기능을 거친 재외공관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본부와 재외공관, 유관기관이 '팀 코리아'로 해서 해외에서는 재외공관 중심으로 협업 체계가 있는데, 좀 더 위기관리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되겠다, 그래서 앞으로 본부에서 TF가 조율하면서 공관망이 경제안보 시대에 맞춰 더 변화되고 준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 TF의 방향성"이라고 소개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를 통해 외교부는 해외발 리스크를 조기 포착하고, 분석·조정하며, 전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