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美 "베이징 올림픽에 정부 사절단 안 보낸다"..외교적 보이콧 발표

기사등록 : 2021-12-07 04: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 정부는 내년 2월 열리는 중국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조 바이든 대통령은 물론 정부 공식 사절단을 보내지 않기로 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을 통해 미국 정부 관리들은 베이징에 올림픽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른바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외교적 보이콧은 올림픽 개·폐회식 등에 정부를 대표하는 인물이나 정치인 등 공식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사키 대변인은 "중화인민공화국(PRC)의 신장 지역에서의 집단 학살및 인권 범죄와 다른 인권 침해가 계속 되고 있는 상황에서 2022년 동계 올림픽및 장애인 올림픽에 바이든 행정부는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그는 다만 "미국 국가 대표 선수단은 우리의 완전한 지원을 받는다. 우리는 미국에서 그들을 응원하며 100% 지지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올림픽) 게임의 팡파레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치권에선 중국의 신장 위구르차치구 소수 민족에 대한 말살 정책과 홍콩 사태 등 인권 침해 문제 등을 이유로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주장이 제기돼 왔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지난 3월 중국 정부의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잔학 행위를 집단학살이라고 규정하며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앞서 CNN방송은 최근 '펑솨이 사태'를 계기로 중국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이 고조되면서 백악관이 이번주 내에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국 언론들은 지난달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화상 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미중관계가 더욱 경색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베이징 동계 올림픽 참석 계기로 종전 선언 등 남북, 북미 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만들려던 한국 정부의 구상도 차질을 빚게됐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시장은 최근 중국을 방문,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 등을 만나 종전선언 추진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은 지난달 라디오 방송에 출연,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불참할 경우 종전선언 추진이 어려워 질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