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지혜 기자 =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 상장 이후 배터리업계 1위인 중국 CATL과 시가총액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CATL의 시가총액은 약 236조원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공모가 상단 기준 시가총액(70조원)의 3.3배 수준이다.
또한 CATL과 비교해 우수한 화학 엔지니어들을 보유하고 있어 배터리 소재 쪽에서 상당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양극재, 분리막 등 주요 소재 부문에서 상당한 우위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10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권 부회장은 "우리가 생각하는 공모가가 70조원 수준인데, 상장 이후엔 얼마가 될 수 있을지 말할 수 없으나 CATL과 시가총액 차이가 크게 날 것"이라면서도 "CATL과 차이는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부회장은 CATL과의 점유율 격차에 대해서도 곧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2위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점유율은 20.5%로 직전 통계 대비 0.7%p 하락한 반면 1위인 CATL은 직전보다 0.6%p 늘어난 31.8%의 점유율을 보여 양사간 격차가 벌어졌다.
그는 "대체적으로 3년 이후까지의 매출을 수주해서 장기적 예측이 가능한데 현재 수주 잔고는 260조원 가량으로 이를 위해 캐파(생산능력)를 늘리고 있어 최소 25% 이상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박지혜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파크원 본사에서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장기 사업 비전과 전략을 공개했다. (왼쪽부터)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 전무,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 부회장, 김명환 LG에너지솔루션 CPO 사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2022.01.10 wisdom@newspim.com |
다음은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과의 일문일답.
-경쟁사인 CATL과 시장 점유율 차이가 나고 있는데 어떻게 따라잡을 것인가.
▲LG에너지솔루션은 우수한 화학 엔지니어들을 보유하고 있어 배터리 소재 쪽에서 상당한 경쟁력이 있다. 양극재, 분리막 등 주요 소재 부문에서 상당히 앞섰다. 경쟁사보다 많은 배터리 지식재산권(IP)도 보유하고 있다. 또 CATL이 갖지 못한 글로벌 고객군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 생산 기지도 유럽, 미국, 중국 등에 갖추고 있다. 점유율의 경우 CATL 성장 배경에는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게 매출을 늘릴 수 있었다. CATL이 글로벌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미국과 유럽 등의 고객사도 확보해야 하는데 만만치 않다. 수주잔고를 비교했을 때 우리가 더 많이 갖고 있어 미래에 시장 점유율이 CATL 보다 높지 않을까 전망한다.
-CATL을 제치려면 중국 시장도 어느정도는 전략적으로 가져가야 하는데, 중국 시장은 어떻게 점유율을 늘려갈 지 궁금하다.
▲배터리 부문을 떠난 것이 6년 전인데 당시 중국 5~6개 기업으로부터 큰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계약까지 했는데 결국 성사가 안 됐다. 최근 상황이 바뀐 것을 감지하고 있다. 2023년쯤 중국 내 보조금이 없어진다고 돼 있다. 올해부터 중국업체 중 1개 업체와 비즈니스를 시작한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제1시장이 될 것이다. 놓칠 수 없는 시장이고 과거에 좋은 관계를 맺었었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
-중국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LG엔솔이 불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가 가진 재료·공정·기술 등을 어우러지게 사용한다면 중국 업체와의 LFP 배터리 경쟁에서도 경쟁력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IPO 로드쇼 기간 동안 기관 투자자들이 회사 측에 가장 많이 질의했던 내용은.
▲롱텀(장기) 투자자가 많았다. 현재 갖고 있는 품질 이슈도 있지만 미래에 대한 투자에 관심이 많았다. 특별한 이슈는 품질 문제와 CATL 대비 수익성 차이에 대해 질문했다. 수익성 차이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CATL은 중국 고객만 확보하고 있는데, 중국 고객은 수익성이 좋다. 글로벌 경쟁 상황에서 수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격이 괜찮고, CATL은 중국에만 공장이 있어서 인건비도 싸다. 재료도 100% 중국산만 쓰고 있고, 생산 장비도 중국산이다. 지금은 이런 이유 때문에 수익성이 좋은 것이다. CATL은 앞으로 시장 경쟁도 겪어야 할 것이고, 미국이나 유럽에도 공장을 세워야 할 것이고, 중국 재료만 쓸 수 없기 때문에 조만간 수익성 격차가 줄어들 것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업 인수 가능성도 언급했는데, 현재 침체돼 있는 ESS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가.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해외도 그렇고 특히 국내 ESS 시장이 소강 상태다. SI(정보시스템 통합) 역량을 갖춘 회사를 인수해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토탈 솔루션을 제공해 좋은 반응을 일으킬 계획이다. 또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던 LFP 배터리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원가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원가 경쟁력을 위해 전기차 폐배터리를 다시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화재가 많이 발생했는데 원인 분석을 국가 기관과 분석했다. 결과는 오퍼레이션할 때 낮은 역량 때문에 화재가 발생했다. S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가 직접 하려고 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국내에서도 ESS 사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해외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
▲10년 전에도 많은 기업들이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했었지만, 모두 결과가 좋지 않았다. 공급 안정성이 내재화의 가장 큰 목적인데 합작법인 카드를 꺼냈고, 그게 잘 먹히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와 현대차, 스텔란티스가 그렇다. 얘기할 수 없지만, 곧 다른 완성차 업체와도 합작을 계획을 하고 있다. 일부 회사는 배터리 내재화에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특히 폭스바겐이 그렇다. 제품력, 원가 경쟁력 등에서 그렇게 성공적이진 않을 것 같다.
-폴란드 외 유럽지역에 추가 공장 설립계획 있는가.
▲현재로서는 폴란드 외 다른 곳에 투자할 계획이 확정된 건 없다. 진행하는 것은 있다. 폴란드에 한다면 단독 공장이고 다른 지역은 합작법인 형태로 설립될 가능성이 높다. 합작을 하게 되면 GM 등도 그랬듯 완성차 업체 옆으로 와 달라고 하는 것이 조건인데 폴란드에는 완성차 업체가 없다.
wisd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