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준희 백지현 기자 = 증시 한파가 장기화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긴축발작이 본격화됐다는 진단이 나온다. 경제 불확실성이 국내 증시에 선반영된 만큼 증시 전문가들은 글로벌 물가지표의 안정화에 주목하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6%(71.61p) 빠진 2720.39p에 마감했다. 전날 2790선까지 내려앉았던 코스피 지수는 서서히 낙폭을 확대하면서 2700선까지 위협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84%(25.96p) 빠진 890.78p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가 9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
이날 국내 증시는 외국인들의 매도세에 밀려 3거래일 연속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간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각각 5.04%, 7.4% 빠졌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2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90.00)보다 71.61포인트(2.56%) 내린 2720.39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915.4)보다 25.96포인트(2.84%) 내린 889.44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96.1)보다 2.5원 오른 1198.6원에 문을 닫았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2022.01.25 hwang@newspim.com |
◆ FOMC 앞두고 '불확실성' 극대화... 우크라이나 사태 등 글로벌 이슈 산적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우려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패권 다툼 등 글로벌 경제·정치 문제가 국내 증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지시간으로 25~2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임박하면서 관망 심리가 투심을 위축시켰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A 자산운용사 대표는 "시장이 제일 안 좋게 보는 것은 불투명한 시계"라며 "미국이 긴축 스케줄을 어떻게 진행할 건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코로나가 맞물리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물가를 압박할 것이란 우려가 시장을 억누르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 경제 구조가 과거에 비해 덜 시크리컬(경기민감주)해진 측면이 있어서 크게 안 빠질 것이라 생각했는데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한국은 여전히 이머징 국가"라며 "이머징에 대한 투자 비중은 OECD 경기선행지수의 움직임에 따라간다"고 부연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작성하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도 5개월 째 하락하고 있다. OECD경기선행지수는 향후 6~9개월 뒤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개별 국가의 경기 전환점 예측을 위해 이용된다.
A 자산운용사 대표는 "과거를 보면 OECD 경기선행지수가 고점을 치고 다시 저점까지 내려올 때 코스피는 15~20% 정도 빠졌다"며 "고점(3300)에서 저점 20%는 2700 내외인데 우리나라 기업의 어닝을 생각해보면 그 정도가 바닥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도 요동치고 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미국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 11% 가량 빠졌다. 전날에도 장중 5% 가까이 빠지다 극적으로 상승 마감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경우 극적으로 리바운드가 나왔는데 국내 증시와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위험자산을 먼저 파니까 이머징에 대한 매도를 더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정 수석연구위원은 또 "중국의 코로나 확산 우려나 춘절 연휴, 설 연휴를 앞두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관련 불확실성을 선반영해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는 주도주가 형성되지 않아 주가로 수익을 내기가 어려운 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에 따른 수급 문제도 국내 증시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상 유통 주식수가 약 5~8%에 불과해 해당 종목을 편입하기 위한 펀드 수급 쏠림 현상이 여타 대형주 주가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날 미국 증시는 상승 반전에 성공했고 원달러 환율도 조금이나마 안정을 찾았는데 국내 증시만 계속 밀리는 이유는 수급 문제가 큰 것 같다"며 "LG에너지솔루션을 사려면 다른 대형주 비중을 줄여야 되므로 선제적으로 비중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사진=로이터 뉴스핌] 2022.01.12 mj72284@newspim.com |
◆ 물가지표 안정이 관건... 단기적으론 1월 FOMC 주목
국내외 증시를 억누르는 글로벌 악재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3월로 예상되는 올해 첫 금리 인상 시기와 코로나19의 진정 등이 최소한의 전제 조건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또 인플레이션 우려가 연준의 긴축 시계를 앞당긴 만큼 '물가지표'가 향후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석현 우리은행 투자상품전략부 부부장은 "물가지표가 안정되는 시그널이 나오면 연준도 지금보다 스트레스가 완화될 것"이라며 "그 지점에서 주가 회복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용택 수석연구위원도 "국내 증시 안정을 위해 제일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물가지표"라며 "인플레이션에서 반전 흐름이 보이면 향후 통화 정책에 대한 강도 우려도 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단기적으로는 FOMC 회의가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하는 이벤트가 될지 주목된다. 오는 3월 올해 첫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회의 결과 인상 횟수와 폭을 가늠할 수 있는 발언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모인다.
박 부부장은 "일차적인 분기점은 이번 FOMC 회의"라며 "연준은 오는 3월에 금리를 올리겠다는 시그널을 던질 텐데 지금 연준이 더 공격적으로 나온다면 주가 조정은 2~3월까지 이어질 수 있고, 기존에 예상한대로 올해 네 차례 정도 금리 인상 시그널을 주게 된다면 시장은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장 변동성을 키웠던 연준의 매파적 발언이 일부 완화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연준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억누르기 위해 톤을 세게 했다고 생각하는데 이제 시장에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어 연준이 예상했던 것만큼 세게 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FOMC에서 톤 다운된 모습이 나온다면 시장의 패닉 국면은 진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