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하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을 중심으로 경제제재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산업계에서는 제재 강도 및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특히 원자재와 에너지, 곡물 관련 업종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러시아와 서방 국가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對) 러시아 제재로 인한 국내 산업의 피해 수위에 관심이 모아진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맞서 새로운 제재 및 대러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미국 상무부는 러시아의 국방, 항공우주, 해양 분야를 겨냥, 구체적으로 반도체와 컴퓨터, 통신, 정보보안 장비, 레이저, 센서 등이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중국 화웨이에 타격을 가했던 '해외직접생산품규칙(Foreign Direct Product Rule)'을 이번 대러 제재에도 적용한 것으로, EU와 일본,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이 동참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21일 러시아가 도네츠크·루간스크 독립을 일방적으로 인정하자 러시아 대외경제은행(VEB) 등 금융 기관과 국채, 엘리트 인사 등에 제재를 부과한 바 있다. 이어 23일에는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 사업 주관사와 기업 관계자들을 상대로도 제재를 가했다.
이번 미국의 대러 수출 통제 강화로 인해 우리 기업의 해외 수출은 상당히 제한을 받게 됐다.
법무법인 세종 측은 "이번 제재에서 특히 우리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미국산 부품 등이 조금이라도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포함, 전자기기와 컴퓨터, 통신 등과 같은 대부분의 ITC제품 및 핵심 부품을 들 수 있다"고 했다. 즉, 우리나라 핵심 수출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등은 이번 수출 통제 강화로 인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이 같은 품목을 러시아로 수출할 경우에는 반드시 미국 측의 허가가 필요하며, 허가 절차 또한 상당히 엄격해졌다는 설명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내 군사작전을 승인한 뒤 24일(현지 시각) 우크라이나 탱크가 마리우폴 시내로 이동 중이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수출 이전에 당장 원자재 수급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겪어야 할 부담이 적지 않다. 러시아는 자원 부국으로, 생산량 기준 니켈 3위, 알루미늄 3위, 석탄 6위다. 원유는 전 세계 생산량의 12%를 차지하며, 철강과 소맥 수출량이 각각 세계 1위다. 우크라이나 역시 철강 수출량 세계 4위, 소맥 수출량 세계 5위 수준의, 만만찮은 자원 보유국이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철강 업종은 수출량 감소로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지만, 저가 수출에 따른 특정 지역 업황 둔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철금속 관련해선 니켈. 알루미늄, 석탄 등 주요 품목의 공급·수출량 감소로 인플레이션 가속화가 불가피하다.
정유 업종은 유가 상승으로 재고평가이익 발생, 이익에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일 수 있겠으나, 공급차질 및 심리적 요인으로 유가가 오버슈팅할 경우 판가를 온전히 인상하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 정유업체들의 러시아산 원유 도입 비중은 약 5% 내외인데 러시아 원유 수입 금지 조치가 취해질 경우 해당 물량을 중동 또는 미국 등 다른 지역에서 확보해야 하므로 원가 측면에서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IT 및 반도체에 대해서는 수요 면에서 동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 가처분 소득 감소에 따라 현재 상대적으로 양호한 유럽 지역의 IT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원료 중 네온과 팔라듐 가격 급등 우려도 크다. 우크라이나는 네온의 주요 공급국으로, 공급 비중이 70%에 달한다. 러시아는 전 세계 팔라듐 생산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업종은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시 내수 수요 감소에 따른 실적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경우, 러시아 시장의 이익 기여도가 높지 않아 실적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對 러시아 수출 품목의 약 44%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에서 발생하고 있음은 우려스러운 점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군사 충돌이 벌어지면, 러시아 자동차 내수 수요가 약 29% 급감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더해 이번 미국의 수출 규제를 감안하면, 우리 기업 중 러시아 내에 최종품 완성 공장을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그 부품을 수출하는 경우(특히 자동차) 과거보다 훨씬 까다로운 허가 절차가 적용되므로 자동차 생산에 차질을 미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곡물 수출 대국으로서 전쟁 혹은 제재조치로 인해 공급 차질이 빚어진다면, 국제 곡물 가격 변동성 확대 흐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과거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2014년 당시 밀 가격이 한 달 만에 75% 급등한 적도 있다.
다만, 국내 업체들이 식용 밀가루 원료로 사용하는 소맥 수입국은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 집중돼 있다. 그럼에도 단기적으로 수입선을 다양화하기 쉽지 않을 경우 국제가격 상승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지적이다.
한편, 건설 업종은 對 러시아 제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러시아 플랜트 시장은 국내 건설사들이 초기 진입하는 단계로, DL이앤씨와 삼성엔지니어링이 각각 1조3000억 원(2021년 12월), 1조4000억 원(2022년 2월) 규모의 정유화학 플랜트를 수주한 바 있다. 가장 보수적인 가정 하에 이 공사들이 무기한 연기된다고 해도, 아직 건설사들이 자원을 투입하지 않은 초기 공사 시점이라 건설사들이 입을 수 있는 손실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얘기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국제 사회의 對 러시아 제재에 따라 원유, 천연가스 수출이 장기간 막힌다면, 중동과 일부 아시아 시장의 플랜트 발주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언급했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