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마켓컬리 상장에 대한 엇갈린 시선...성장성 입증·경영권 방어가 관건

기사등록 : 2022-04-05 06: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마켓컬리, 지난달 28일 코스피 상장 예비심사 청구
적자에도 해외 증시 이탈 방지 상장 요건 완화 결과
새벽배송 경쟁력 하락 지적, 성장성 제고 방안 필요
김슬아 대표 낮은 지분, 경영권 방어 취약 극복해야

[서울=뉴스핌] 김명은 기자 = 장보기앱 마켓컬리 운영사인 컬리가 업계 안팎의 엇갈린 평가 속에 국내 이커머스 1호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제2의 쿠팡 사례를 막겠다며 국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의 상장 요건을 완화함에 따라 적자 기업인 컬리의 증시 입성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마켓컬리의 앞날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성장 가능성을 스스로 입증하고 경영권 방어 수단이 취약한 상황을 극복해야 흥행을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지난해 말 프리 IPO(상장 전 투자유치)로 인정받은 몸값 4조원을 뛰어넘는 시가총액을 달성해야 한다.

 

◆'새벽배송 개척자', 최우선 과제는 수익성 확보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컬리는 지난달 28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하며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들어갔다.

2014년 12월 설립된 컬리는 마켓컬리를 통해 2015년 5월 새벽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고객이 밤 11시 전에 상품을 주문하면 다음 날 아침 7시까지 집 앞으로 배송해 주는 '샛별배송'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넘긴 '공룡'이 됐지만 누적 적자가 5000억원에 달하는 만년 적자 기업이다. 원래 기준대로라면 상장이 불가능했지만 지난해 3월 쿠팡의 미국 뉴욕증시 상장 이후 유니콘 기업 특례 요건이 만들어지면서 가능해졌다. 거래소는 유니콘 기업이 해외 증시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으면 다른 재무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도 상장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다.

상장 요건이 완화되면서 컬리의 코스피 입성에 파란불이 켜졌지만 흥행을 위해선 수익성 확보가 절실하다. 컬리는 지난해 매출액이 1조5614억원(연결 기준)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하지만 적자 폭은 더 커졌다. 영업손실이 2020년 1163억원에서 지난해 2177억원으로 87% 증가했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이 납득할만한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마켓컬리가 새벽배송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지만 기존 유통채널들이 이를 따라 하면서 경쟁력이 떨어진 측면이 있다"며 "사업다각화를 통한 수익성 제고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흑자 전환 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과 대비되는 특장점도 함께 증명해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컬리는 수익성 문제가 상장에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지난해 총 거래액(GMV)이 전년 대비 65% 늘어난 2조원에 이른 점에 주목하고 있다. 또 매출액에서 변동비를 차감한 금액으로 영업이익 흑자전환의 선행지표라고 할 수 있는 공헌이익이 2019년부터 3년째 흑자를 기록한 것도 고무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컬리는 GMV 확대를 위해 비(非)식품 부문을 늘려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뷰티, 가전, 숙박·여행상품 등 비식품 영역의 상품 수 비중이 33%까지 상승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슬아 마켓컬리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마켓컬리 본사에서 열린 자상한 기업 업무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0.12.09 pangbin@newspim.com

◆김슬아 대표 낮은 지분, 경영권 방어 수단 확보 '난제'

컬리는 당초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지난 1월 거래소에 예비심사를 청구할 예정이었으나 김슬아 대표의 낮은 지분율 문제로 일정이 지연됐다.

컬리가 외부 투자를 늘리면서 김 대표의 지분율은 2019년 10.7%에서 2020년 6.67%로 하락했고, 지난해에는 5.75%로 더 낮아졌다. 창업자의 경영권 방어에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쿠팡이 차등의결권(복수의결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미국 뉴욕거래소에 상장하면서 창업자인 김범석 전 이사회 의장의 지배력을 지킬 수 있었지만 컬리는 국내 상장을 추진하면서 경영권 리스크를 안게 됐다.

이 때문에 거래소는 창업자에게 20% 이상의 우호지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재무적 투자자들이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는 보호예수 기간을 설정하는 방안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컬리의 최대 주주는 지분 12%를 보유한 벤처캐피털(VC) 세콰이어캐피탈 차이나다. 나머지 재무적 투자자들도 언제든지 차익을 실현하고 떠날 수 있는 외국계 펀드들이다. 향후 보호예수 기간이 끝나면 대규모 매도 물량이 쏟아져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도 있다.

창업자의 경영권 보호와 관련해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최근 비상장 벤처기업의 차등의결권 도입을 다시 추진하기로 한 만큼 추후 제도 보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상장 예비심사 통과까지는 통상 2개월(45영업일)이 걸린다. 심사 과정에서 중대한 하자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컬리는 3분기 코스피에 입성할 수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최근 "지난해 12월 프리 IPO 당시 평가가치를 고려할 때 컬리의 목표 시가총액을 6조~7조원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dream78@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