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준형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는 일명 '카플레이션(carflation)' 현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완성차 업계의 수익성 우선 전략과 환경 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저렴한 자동차가 줄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11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에서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소재가격 급등 등에 따른 제조 원가 상승으로 각국의 신차·중고차 가격이 고공행진 중"이라며 저렴한 자동차가 감소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한자연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불확실성이 증폭됐고, 대러시아 경제제재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 등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며 "전쟁 장기화 시 부품 공급 문제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현대제철 예산 공장에서 생산 중인 자동차용 고강도 핫스탬핑 부품 [사진=현대제철] |
이에 완성차 업체들은 수익성이 낮은 차종 대신 수익성이 높은 차종을 확대하는 전략을 강화하면서 저렴한 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자연은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소형 세단·해치백 생산을 줄이고 수익성이 높은 SUV나 픽업트럭, 프리미엄 차종의 비중을 확대하면서 판매대수 감소에 따른 실적 하락을 상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며 "프리미엄 전기차를 통한 이미지 강화 및 수익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기업 전략과 함께 환경 규제 강화도 저렴한 차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한자연은 "배출가스 등 규제 대응 비용이 증가해 수익성이 낮은 차종이 시장에서 자연 퇴출됐다"며 "2025년 발효 예정인 유로-7 환경 기준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최신 내연기관차도 충족이 상당히 어려우며, 대응을 위해 대부분의 차종에서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여기에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 감소가 더해져 완성차 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고된다"며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자연은 정부가 자동차 관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는 한편, 자동차 생산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자연은 "자동차 관련 세목 중 시대적 소명을 다했거나 중복 과세 여지가 있는 세목의 정리 및 취약계층의 세금 감면 범위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며 "희소한 자원을 대체하거나 사용량을 줄이는 연구개발, 차량용 반도체의 수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아키텍처 혁신 연구개발 등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jun89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