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윤석열 정부의 1기 내각 지명이 마무리됐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와 18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이 베일을 벗은 가운데 초대 내각 후보자들의 특징은 '60대·영남·서울대'였다. 이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기득권층에 다름 아니어서 우려스럽다.
윤석열 1기 정부 장관 지명자들은 1949년생으로 70대인 한 총리 후보자와 함께 60대가 11명으로 절대 다수이며 50대가 6명이다. 60대 이상이 63%로 절대 다수이며 만 49세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아니었다면 40대 이하 장관이 한 명도 없는 상황이 될 뻔 했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압도적이었다. 서울대는 10명으로 단일 대학 출신자가 내각 구성원의 50%를 넘었다. 뒤를 이어 고려대 4명, 경북대 2명, 광운대·육군사관학교·한국외대 출신이 각각 1명씩이다.
지역적으로는 영남 출신이 압도했다. 후보자들은 경남 출신 3명, 대구 2명, 경북 1명, 부산 1명으로 영남 출신이 7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서울 출신이 4명이었고, 충북 2명, 전북 2명, 강원·대전·제주·충남 출신 장관 후보자가 1명이었다. 민주당의 텃밭인 전남과 광주 출신 후보자가 0명이며, 전북을 합해도 호남 출신 후보자가 2명에 그쳤다.
이같은 구성은 인재를 등용하는 윤 당선인의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윤 당선인은 지난 1차 내각 발표 당시 "저는 선거 운동 과정에서부터 할당이나 안배를 하지 않겠다고 말씀드렸다"라며 "각 부처를 유능하게 이끌 분을 지명하다 보면 지역·세대·남녀 다 균형 있게 잡히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산업화 시대와 민주화 시대를 모두 거치며 다양한 경험과 경륜을 쌓은 60대와 50대의 능력은 물론 출중하다. 그러나 비슷한 학벌과 나이, 지역적 경험을 가진 이들의 사고 방식이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이 문제다.
우리가 헤쳐가야 할 국제환경은 과거 냉전시대처럼 어느 한 편을 선택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기술 발전과 미중 갈등으로 경제와 외교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고, 저출산 고령화로 대한민국 자체가 잘못하면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도 크다.
시민들의 욕구도 보다 다양해졌고 인권과 공정을 향한 요구가 높아진 가운데 국가 운영 역시 보다 민감하고 면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대한민국이라는 항공모함은 한번 방향을 정하면 이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의사 결정 과정에서부터 보다 다양한 목소리와 시각을 말해줄 인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윤석열 정부 1기 내각에서 이 역할을 해줄 인사는 보이지 않는다.
하나의 목소리와 효율성 만을 추구하는 사회는 잘못하면 소수자에 대한 폭력과 증오라는 잘못된 길로 빠질 수 있다. 아직 윤석열 정부의 고위 공직 인사는 마무리되지 않았다. 윤 당선인이 다양성의 부족이라는 결코 작지 않은 문제를 이후 인사에서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