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북한이 16일 발사한 '신형 전술유도무기'는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나 북한판 에이태킴스(KN-24) 둘 중 하나를 변형시킨 것으로 전문가들은 17일 분석했다.
북한 매체들은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 발사했다며 사진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합참은 북한 발사와 관련해 이날 "북한이 16일 오후 6시께 함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2발의 발사체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이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아래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했다"면서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발사 장면. [사진=조선중앙통신] |
합참은 발사 제원이 고도 약 25km, 비행거리 약 110km, 최고 속도는 마하 4.0 이하로 탐지됐다고 발표했다.
북한이 공개한 발사 사진을 보면 이동식 발사차량(TEL)에 탑재된 발사관에서 발사됐다.
전문가들은 발사대와 유도무기 형태를 봤을 때는 KN-24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다만 저각 발사를 해도 속도는 거의 비슷하게 마하 6.0 정도 나와야 하지만 최고 속도가 4.0으로 완전히 달라 KN-24는 아니라고 평가했다.
특히 KN-23과 KN-24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저고도 도약 활공 비행 여부다. 발사체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 가다가 하강 도약하면서 아주 낮게 활공 비행을 하면 KN-23다.
하지만 북한이 이날 공개한 사진과 합참의 탐지 제원만 갖고는 지금 판단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북한 미사일 권위자인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지금 속도만 갖고 정확히 평가하기는 어렵다"면서 "다만 KN-23과 KN-24 둘 중 하나를 변형시킨 것은 맞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권 전 교수는 "KN-23과 KN-24 중에 어느 무기체계를 변형했느냐 여부는 저고도 도약 활공 비행을 했으면 KN-23 변종이고, 안 했으면 KN-24 변종"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 동지께서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발사를 참관했다"면서 "당 중앙의 특별한 관심 속에 개발돼 온 신형 전술유도무기체계는 전선 장거리 포병부대들의 화력 타격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전술핵 운용의 효과성과 화력 임무 다각화를 강화하는데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고 발표했다.
또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나라의 방위력과 핵전투 무력을 더 한층 강화하는 것에 대한 가르침을 줬다"고 발표했다. '핵전투 무력' 언급은 지난 5일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의 담화에서도 나왔다.
조선중앙통신이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아래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했다"면서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모습. [사진=조선중앙통신] |
일단 국내외 전문가들은 KN-23과 KN-24의 직경을 분석해 보면 전술핵을 충분히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권 전 교수는 "북한 발표에서 '전술핵 운용의 효과성' '화력 임무 다각화' '핵전투 무력 강화' 라는 언급을 보면 기존의 KN-23‧KN-24 둘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해서 조금 변형시킨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혀 새로운 것을 개발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군 당국은 기존의 KN-23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크기를 축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앞서 지난 1월 14일 평북 의주에서 발사한 KN-23은 고도 36㎞, 비행거리 430㎞, 최고 속도 마하 6 안팎으로 탐지됐다.
KN-23은 사거리가 400∼600㎞로 비행 종말 단계에서 요격을 회피하기 위해 '풀업'(pull-up·활강 상승) 기동을 하는 특성이 있다. 터널과 나무숲 등에 숨어 있다가 개활지로 나와 2발을 연속 발사한 뒤 재빨리 은폐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이 신형 전술유도무기가 KN-23과 KN-24의 기술적 장점을 결합해 개발한 신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 가능성도 제기한다.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무기는 한국군이 개발 중인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KTSSM)과 유사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