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中청년들 '코로나블루' 확산..."대기업·대도시 매력 없어"

기사등록 : 2022-04-21 14: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8~32세 청년 대상으로 설문조사
생활 만족도, 코로나19 사태 뒤 '급하'
권태감·무력감 크지만 '절망'까진 아냐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코로나블루' 증상이 확산하고 있다. 2년 전 본격화한 펜데믹 이후 마스크가 필수가 되고 재택 근무·온라인 수업 등이 일상이 된 가운데 최근 상하이 등 도시의 봉쇄로 일상 생활이 극도로 제한되면서 젊은이들의 생활 습관과 사고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사진=셔터스톡]

중국 경제 전문 매체 디이차이징(第一財經) 산하 빅데이터 분석 전문 미디어인 DT차이징(DT財經)은 최근 '코로나19 봉쇄, 무엇이 달라졌나'라는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2079명으로부터 유효 답변을 얻었다.

1985~2000년대 생이 전체 응답자의 87%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응답자의 80% 이상이 '코로나19로 인해 생활이 제한됐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코로나19에 감염된 적 없다'고 답한 비중이 93.8%에 달했으나 이들마저도 코로나19가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 지역 봉쇄, 삶 만족도 '수직 하락'

코로나19 사태는 중국 젊은이들의 삶 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렸다. 특히 도시 봉쇄령이 잇따라 내려지고 집밖으로의 외출이 타의에 의해 제한된 것이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중 '10점 만점으로 삶에 대한 만족도는 몇 점인가'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평균 만족도는 코로나19 사태 전 7.7점에서 코로나19 사태 후 3.7점으로 급감했다. 지역의 장기 봉쇄와 관련해서는 '걱정스럽다'는 반응이 4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권태롭다(31.3%)', '실망스럽다(29.9%)' '답답하다(28.5%)'가 그 뒤를 이었다. 대부분 '부정적' 표현들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실제로 중국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지역 봉쇄로 인한 외로움과 우울감을 호소하는 글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 봉쇄 '정책'에 대해서는 찬반이 대립하고 있지만 격리 생활 자체에 대해서는 '답답해서 견디기 힘들다' '자유롭게 외출하고 싶다' '사람들과 대화하고 싶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 상담'이 인기 검색어에 오른 것도 중국인, 특히 상하이 주민의 현재 상태를 짐작하게 한다. 검색어 검색량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바이두(百度)지수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상하이 주민의 '심리 상담' 검색량이 급증했고, 지난 한 달간의 '심리 상담' 검색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젊을 수록 '무료함' 크게 느껴

같은 '코로나블루'여도 가장 크게 느끼는 감정에는 연령별로 차이를 보인다. 30대 중반에 접어든 1985년 이후 출생자부터 30대 진입을 앞둔 1995년생까지는 '걱정'이 두드러진 반면 2000년대 생들은 '무료함'을 더 크게 느낀다는 게 설문 조사 결과다.

아직 20대인 2000년대 생들은 건강상의 걱정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기기 조작에 능숙해 필요한 정보와 전염병 확산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전염병에 대한 막연한 걱정이나 두려움이 덜하다.

반면 젊은 세대일 수록 집에서만 머무르는 생활에 익숙하지 않다. 온라인 수업, 원격 회의 등 일상 생활에 '일시 정지' 버튼이 눌리고 외출이 극도로 제한되면서 '따분함'과 '지루함'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지적이다.

◆ 권태로울 뿐 '좌절'은 아냐

다행스러운 점은 코로나19가 가져온 부정적 정서가 '절망'이나 '좌절'까지 발전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자존심이 강하고 자아가 강한 중국의 'MZ세대'들은 외부 상황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외부 환경 변화에 심한 충격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1995~2000년대 생들 중에서는 '권태로움'과 '무력감'을 느끼는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DT차이징은 "1995~2000년 생들은 '인터넷 세대'로서 인터넷을 통해 거짓 뉴스·수치·부정적 소식 등 수많은 정보를 접하곤 한다"며 "각종 수치와 데이터에 시시각각 반응하는 가운데 '정치적 우울감'이 생기기 쉽고, 이와 함께 자신의 무력함에 공허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건강'과 '자유' 중요성 대두 

코로나19 사태는 중국 젊은이로 하여금 건강과 자유의 중요성을 보다 크게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배불리 먹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면서 안정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생활에 대한 바람도 더 커졌다. 

설문 중 '코로나19 전과 비교해 어떤 것(보기 제시)이 더욱 중요해졌나?'라는 항목에서 '건강'이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고, '자유'가 42.2%를 차지했다. 

'앞으로 바꾸고 싶은 것은?'이라는 물음에 '생필품을 더 구매할 것'이라거나 '돈을 아껴 쓸 것'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할 것' '생활 품격을 높일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던 것 역시 건강과 자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DT차이징은 설명했다. 

◆ 대기업·대도시 매력도는 떨어져

도시 봉쇄를 경험한 젊은이들에게 있어 '대도시' '대기업'은 예전만큼 삶의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자신만의 생활·가정으로 돌아가야 했던 코로나 시대, 조사 참여자의 40% 가량이 "사는 곳을 옮겨야 할지 생각하기 시작했다"라는 보기를 선택하면서 대도시 생활에 대해 커진 회의감을 보여줬다.

특히 1995~2000년대 생에 대한 '대기업' 매력도가 크게 낮아졌다. 1995년 이후 출생자들의 27%, 2000년 이후 출생자들의 30%가 "대도시 및 대기업의 중요성이 (코로나19 전보다) 작아졌다"를 선택했다. 

심지어 2000년대 생 중 "돈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답변을 선택한 비중이 13%에 달하기도 했다. 상하이에 살며 3주가량 격리됐던 한 응답자는 "도시 봉쇄 이후 생활 반경이 작아졌다. 지금은 현실을 받아들이고 주변 사람들과 더 잘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해졌다"며 "집에서 밥을 해 먹는 것, 상하이의 '신(新) 4대 천왕(감자·당근·양파·배추. 채소 값이 치솟으면서 생긴 신조어)'을 공구해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보는 일도 즐거워졌다"고 말했다.  

hongwoori8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