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최성원의 광동제약, 의약품 확대한다더니...R&D 투자 '쥐꼬리'

기사등록 : 2022-04-27 09: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성원 대표이사 취임 후 쭉 R&D 비용, 매출액 1% 수준
인력도 업계 대비 적어...신약 파이프라인도 빈약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의약품 연구개발(R&D) 확대 의지를 내비친 광동제약의 R&D 투자 비중이 여전히 쥐꼬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의 R&D 투자 비중은 매출액의 약 1% 수준이다.

최씨고집의 '우황청심원'으로 유명한 광동제약은 일찍이 매출 1조원을 넘긴 상위 제약사로 꼽힌다. 하지만 매출 규모가 비슷한 국내 제약·바이오사와 비교하면 R&D 비용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넘긴 제약바이오사의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 평균은 12.9%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최근 사옥을 신축하기로 했다. 본사와 연구소 통합 시너지를 통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광동제약은 사업보고서에서 "새로운 전문의약품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특화된 한방제품 개발과 차별화된 일반의약품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R&D 중심 기조를 분명히 했다.

◆매출액 1조 넘는데...R&D 투자는 1%대

하지만 정작 최성원 대표이사 부회장이 지난 2013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뒤에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용은 1%대를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20% 넘게 R&D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국내 제약바이오사와는 거리가 멀다.

지난해 셀트리온은 매출의 20.8%를 R&D에 투자했다. 한미약품과 종근당은 각각 13.4%, 12.2%를 투입했다. 이들을 포함해 매출 1조원 이상인 제약바이오사 7곳의 R&D 평균은 12.9%다.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광동제약 제공]

매출 규모로만 따지면, 광동제약은 상위 10대 제약바이오사에 들어간다. 최 대표 취임 첫 해인 2013년 광동제약의 매출액은 4684억원이었다. 광동제약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해 2016년 처음으로 1조원을 넘었다. 지난해 광동제약의 매출액은 1조3392억원이다.

하지만 2013년 광동제약의 매출액 대비 R&D 투입 비용은 1.2%(56억원)에 그쳤다. 이마저도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던 2016년엔 0.8%(50억원)로 뚝 떨어졌다.

이후는 ▲2017년 1%(69억원) ▲2018년 1.1%(76억원) ▲2019년 1.3%(95억원) ▲2020년 1.3%(101억원) ▲2021년 1.5%(125억원) 등이다.

광동제약은 1963년 '한방의 과학화'를 창업 이념으로 설립된 회사다. 창업주인 고(故) 최수부 대표이사 회장은 우황청심원과 '경옥고', '침향환', '비타500', '옥수수염차' 등 광동제약의 간판 제품을 만들며 회사의 기반을 닦았다. 최 대표는 고 최수부 선대 회장의 아들이다.

고 최수부 선대 회장은 옥수수수염차가 출시되기 직전인 2005년 매출액의 2.6%(56억원)를 R&D에 투자했다. 당시 광동제약의 매출액은 2160억원으로 근래 수치와 비교하면 6배 이상 차이난다. 회사의 덩치는 커졌는데 R&D 투자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다.

생전 고 최수부 선대 회장은 "매출의 5% 이상을 R&D에 투자하면서 신제품 개발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하며 이듬해부터 많게는 2.2%까지 R&D에 투입했다. 업계에서 최 대표의 의약품 개발 뜻에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인 까닭이다.

광동제약의 R&D 인력 자체도 업계 대비 적다. 광동제약의 지난해 전체 직원 수는 1042명이다. 광동제약은 13% 정도인 137명을 연구 인력으로 뒀다.

지난해 매출 1조8909억원으로 업계 매출 1위를 달성한 셀트리온은 698명의 연구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포함해 전체 직원수는 2207명으로 30% 이상을 R&D에 배치했다. 종근당은 전체 2436명의 직원 중 약 23%인 555명을 연구 인력이다.

◆신약 파이프라인 빈약..."다양성 떨어져"

R&D 투자가 적은 만큼 광동제약의 신약 파이프라인은 빈약한 편에 속한다. 지난해 매출 1조2032억원을 기록한 한미약품의 경우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성장호르몬결핍증 치료제 등 바이오신약부터 합성신약·개량복합신약까지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광동제약이 개발 중인 의약품은 비만치료제와 여성성욕저하치료제가 전부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 규모로 봤을 땐 파이프라인의 다양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비만치료제 'KD-101'에 대해 2020년 임상 2상을 끝낸 광동제약은 임상 2b상과 적응증 확대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임상 종료 후 2년째 후속 방안을 논의 중인 셈이다.

[로고=광동제약]

광동제약 관계자는 "KD-101은 임상 프로토콜 및 적응증 확대 방안 검토 중"이라고만 말했다.

업계 관계자 역시 "변수가 있어 개발 진행이 더딘 일은 비일비재하다"며 "신약 개발 성공 확률은 10%도 안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또 다른 관계자는 "R&D에 1%대를 쓰고 있는데 개발 진도가 과연 나갈 수 있을까 모르겠다"며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으나, 2년이 넘었다면 사실 윤곽이 잡혀야 한다"고 했다.

여성성욕저하치료제 'KD-BMT-301(바이리시)'는 미국 제약사 팰러틴 테크놀로지스에서 들여온 제품이다. 광동제약은 지난 2017년 바이리시의 국내 독점 판권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0년 임상 3상에 착수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에 의하면 전체 임상 3상 참여자 수는 186명이며 지난 2월 종료를 목표로 설계됐다.

이에 대해 광동제약 측은 "바이리시는 현재 가교 임상 진행 중"이라고만 답했다.

kmkim@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