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쿠팡, 게 섰거라" 위메프·티몬, 1세대 이커머스 위용 되찾을까

기사등록 : 2022-04-28 06: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3년 연속 매출 감소세...영업적자는 개선
"이커머스 시장에 영원한 1위는 없어"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1세대 이커머스인 위메프와 티몬이 체질 개선에 나섰다.

2010년대 나란히 3대 이커머스였던 쿠팡과 위메프·티몬의 실적이 크게 엇갈리면서다. 쿠팡은 지난해 매출 22조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 상장 초기 시가총액만 100조원에 육박하는 글로벌 이커머스 업체로 성장한 상태다.

반면 위메프·티몬은 매출 감소를 비롯해 지속적인 실적 난항을 겪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기점으로 국내 온라인 시장은 급성장 했지만 위메프와 티몬의 매출은 후퇴했다. 코로나19 특수를 흡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위메프는 판매자와 상품 수를 늘리는 '플랫폼 확장'을 티몬은 '기업공개(IPO)' 등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재도약에 나서고 있다.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022.04.27 aaa22@newspim.com

◆ 위메프·티몬 3년 연속 매출 감소세...영업 적자 소폭 개선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커머스 1세대 업체로 꼽히는 위메프와 티몬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차별화 전략에 나서고 있다. 한때 라이벌이었지만 지금은 독보적인 업계 1위인 쿠팡을 따라잡으려는 목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위메프와 티몬은 최근 3년 연속 매출 감소세에 있다. 위메프의 지난해 매출은 2448억원으로 2019년 4000억원대에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티몬의 지난해 매출은 1290억원으로 2019년도에 비해 431억원이 감소했다. 티몬 관계자는 "경영진이 교체되면서 사업 전략을 수정하고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실적이 소폭 감소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매출을 견인했던 여행과 공연 분야의 매출 하락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다만 위메프의 경우 매출은 줄었지만 3년 연속 영업적자 역시 줄었다. 위매프는 2019년 75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338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낮췄다. 반면 티몬의 지난해 영업손실액은 746억원으로 2019년보다 14억이 늘었다. 위메프 관계자는 "체질 개선을 위한 플랫폼 고도화에 비용이 들었다"며 "지난해 4월부터 2.9% 정률 수수료를 도입하면서 수수료 매출이 5분의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여파로 사업 내실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위메프, 티몬의 매출 감소는 온라인 쇼핑 시장이 비대면 소비 활성화로 코로나19 특수를 누린 것과 대조를 이룬다. 코로나19 시기는 이커머스의 전성기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134조원대였던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022년 211조원대(추정치)로 2배가량 치솟았다.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매출도 일제히 뛰었다. 네이버·쿠팡은 전년 대비 30% 이상의 매출이 성장했다. 신세계그룹의 쓱닷컴은 G마켓·옥션·G9을 운영하는 지마켓글로벌샵(구 이베이코리아)을 품으며 규모를 키웠다. 위메프와 티몬은 이러한 코로나19 특수를 비껴갔다.

업계에선 쿠팡과 위메프·티몬의 실적이 극명하게 갈린 이유로 사업구조 차이를 꼽았다. 이커머스는 물건을 직접 구매해 판매하는 '직매입'과 판매자가 따로 있는 '오픈마켓' 수수료를 통해 매출을 창출한다. 쿠팡은 직매입 위주 사업을 전개해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다. 여기에 '로켓배송'과 유료 멤버십을 도입하는 등 사업 모델도 바꾸며 수익성을 끌어 올렸다. 

반면 위메프와 티몬은 시장에서 규모의 경쟁에서 밀렸다. 쿠팡이 소위 '계획된 적자'를 통해 물류 인프라를 확대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며 급성장하는 사이 위메프와 티몬은 적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수익성이 낮은 사업을 정리하며 규모를 줄였다. 이 것이 쿠팡과 위메프, 티몬의 명운을 가른 요소로 꼽힌다. 

[사진=픽사베이] 신수용 기자 = 2022.04.27 aaa22@newspim.com

◆ 위메프 '플랫폼 확장' VS 티몬 '콘텐츠' 집중..."영원한 1등은 없다"

'라이벌'에서 '업계 1인자'로 바뀐 쿠팡을 따라잡기 위해 위메프와 티몬은 차별화 전략에 나섰다. 우선 위메프는 메타쇼핑을 통한 '플랫폼 고도화'를 비전으로 내세웠다. 메타쇼핑은 AI(인공지능)가 수집·분석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플랫폼이다. 네이버와 다나와 등 기존 가격 비교 사이트의 기능에 상품의 특징·스타일을 추가해 상품 검색 기능을 고도화했다. 패션·가전 중심이었던 가격비교 상품 카테고리도 전 부문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판매자(신규 셀러) 수를 늘리고 상품 수를 늘리기 위해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인 2.9%로 내렸다. 이커머스 업계의 판매 수수료는 10% 내외로 알려져있다. 이어 소비자직접거래(D2C) 서비스를 도입해 소비자·자사몰을 직접 연결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면서 수익도 올린다는 계획이다.

티몬은 지난해 6월 장윤석 공동대표 취임과 함께 영상 콘텐츠를 상품 판매와 연계하는 '콘텐츠 커머스'에 방점을 뒀다. 콘텐츠 커머스는 드라마와 예능에 기획 단계부터 제품을 주제로 정해 소비자가 영상을 보면서 마음에 드는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데 방점을 둔다. 장 대표는 짧은 시간 콘텐츠를 즐기는 '스낵컬쳐' 붐을 일으킨 '피키캐스트' 운영사인 콘텐츠플랫폼 기업 '아트리즈'의 창업자다.

티몬은 웹예능 '광고천재 씬드롬'과 인플루언서와의 공동 기획 브랜드 '위드티몬'로 소비자와 접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위드티몬은 생산자가 고객에게 직접 판매하는 식으로 유통구조를 최적화해 가격을 낮추면서 고객을 끌어모으는 방식이다. 아프리카TV 자회사 프리콩 등과 공동 제작한 '게임부록'은 영상 누적 조회수 450만 이상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는 실적으로도 이어졌다. 티몬의 1분기 매출은 지난해 대비 19%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지난 1분기 매출이 신장하면서 올해는 실적 개선에 성공해 다시 상장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티몬 관계자는 "지난 하반기부터 선보인 '콘텐츠 커머스'가 성과를 내고 있다"며 "엔데믹 기대감으로 여행 매출도 상승세"라고 말했다.

국내 온라인 쇼핑시장에서 네이버·쿠팡·신세계그룹(SSG닷컴·이베이코리아)이 3강 체제를 굳히고 있는 상황에서 롯데그룹도 자사 온라인몰인 롯데온을 강화하는 등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커머스 관계자는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점유율에서 네이버와 쿠팡 등 상위 3개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과 패션플랫폼 등 기타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슷하다"며 "이커머스 시장은 1위가 없는 시장으로 향후 승기를 잡는 기업이 또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