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서울시가 ESG 확산을 위해 기후예산제를 올해부터 시정 전 분야에 전면 도입,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고 5일 밝혔다. 26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도 관련 지표를 신설한다.
기후예산제는 예산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영향을 분석해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방안을 마련하는 제도다.
서울시청 전경. [서울=뉴스핌] |
예컨대 전기차 보급, 녹지 확충 등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감축사업'에 해당되므로 예산 편성에 우선 반영하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는 '배출사업'은 저감방안을 포함하는 예산안으로 감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시는 2021년 3개 본부‧국(기후환경본부, 푸른도시국, 물순환안전국)에 기후예산제를 시범 도입했으며 올해 125개 사업에 3725억원을 기후영향사업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99만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된다.
서울연구원이 기후예산제 전면 도입을 가정해 2022년 회계연도 예산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전체 예산(44조원) 가운데 기후영향사업은 3조4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매년 시행하는 26개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는 ESG 관련 지표 반영을 추진한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녹색제품 구매실적, 제로웨이스트 추진실적 등을 평가지표로 설정해 투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
투자‧출연기관 평가 결과는 기관장 및 직원의 급여에 반영되는 구조로 서울시 전체 투자‧출연기관 및 직원의 ESG 실천을 위한 유인책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구매도 확대한다. 구매심사 기준을 현행 70만원 이상에서 50만원 이상으로 강화한다.
녹색제품 구매액의 71%를 차지하는 건설‧토목 분야는 구매실적을 집중 관리해 의무구매 비율을 2021년 32.6%(구매액 558억원)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민간 부문의 참여 확대를 위해 ▲계약‧민간위탁 시 ESG 우수기업 우대 ▲경제단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 ▲중소기업 ESG 경영 전환 컨설팅 확대 ▲녹색산업 육성‧지원 등을 다각도로 추진한다.
한편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을 고려하는 기업 경영을 말한다.
최근 국내‧외 기업들은 ESG 투자 확대를 발표하고 RE100‧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미래성장전략으로 ESG 경영을 선택하고 있다. 2020년 국제 ESG 투자규모는 40조5000억달러로 2012년(13조3천억)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동아시아 최초로 C40로부터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행동계획을 인증받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힘써왔다"며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길에 기업, 시민과 협력해 ESG 생태계를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