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6.1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서울시 자치구의 행정을 책임질 구청장 선거전도 뜨거워지고 있다. 4년전 24:1 완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이 수성에 나선 가운데 기록적 패배를 겪었던 국민의힘은 '정권교체' 여세를 몰아 반격을 예고했다. 25개 자치구 최종후보로 결정된 양당 인물을 조명하고 주요 쟁점과 지역 민심을 살펴봤다(인물 소개는 기호순)
[서울=뉴스핌] 조정한·최아영 기자 = 강북구는 박겸수 현 구청장이 3선 연임 제한으로 불출마하면서 '무주공산(無主空山)'이 됐다. 하지만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으로 보수 진영 후보에겐 절대 만만한 지역은 아니다.
6.1지방선거에선 이순희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이성희 국민의힘 후보가 출마했다. 모두 강북구청장에 도전한 이력이 있으며 강북을 바꿔보겠다는 의지 또한 강력하다.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2022.05.13 giveit90@newspim.com |
◆ 출마만 4번째 '이순희'...강북 행정 경험자 '이성희'
이순희 후보는 강북구청장 출마만 벌써 4번째다. 지난 2018년 민선 7기 선거 당시 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 출신으로 출마했지만 경선에서 탈락, 완주하지 못했다. 이번엔 민주당이 강북구를 당내 여성 전략지역으로 결정하면서 경선을 치르고 기회를 얻게 됐다.
이 후보는 ▲도시철도 신강북선 추진 ▲구청장 직속 재개발·재건축 지원단 신설 ▲고도제한 합리적 완화 방안 마련 ▲시립어린이전문병원 건립 지원 ▲도봉세무서 복합개발 사업 추진 ▲빌라 관리사무소 설치 등을 6대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성희 후보 또한 민선 7기 낙선의 아픔을 뒤로하고 출사표를 냈다. 이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도 '통큰 변화가 있는 행복한 강북'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진보 색채가 짙은 지역이지만 구의원·서울시의원(제6대 강북구의회 후반기 부의장,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까지 행정을 두루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지역을 적극 변화시키겠단 의지다.
일찌감치 지역 맞춤형 공약 9가지도 발표했다. 대표적으로 ▲강북보건소 24시간 개방 ▲민원상담을 위한 구청장실 매월 1회 개방 추진 ▲구청장 산하 민간합동 지원기구 설치해 재건축·재개발 촉진 ▲명문학원 유지 ▲우이동 종점 5층 주차타워 건립 등이다.
◆ 강력한 민주당 텃밭..."이번엔 바뀔까"
강북구는 대표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다. 역대 선거에서 여러 차례 보수 진영을 가볍게 눌렀고, '이변(異變)'을 바라는 보수 후보들이 선거 때마다 등장했지만 큰 성과 없이 물러났다.
민주당 득표율은 민선 6기와 7기 선거에서 가뿐히 과반을 넘겼다. 민주당 후보였던 박겸수 구청장은 각각 52.3%, 64.5%를 기록하며 강북구의 수장이 됐다. 보수 진영이었던 김기성, 이성희 후보는 각각 39.8%, 23.6%의 저조한 득표율을 보였다.
강북 갑과 을로 나뉜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당 소속 천준호(57.8%), 박용진(64.5%) 후보가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증을 거머쥐었다. 그나마 최근 치러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52.3%)과 국민의힘(43.8%) 득표율이 8.5%p차이로 좁혀지며 새로운 가능성을 예고했다. 오는 6.1지방선거에서도 새 인물 교체는 물론 진영 교체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사진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2.04.19 hwang@newspim.com |
◆ 주거 환경 개선 요구 높아...신속 개발 추진력 '요구'
강북구 표심 공략 포인트는 단연 강남·북 지역균형발전과 같은 도시개발이다. 재정상태가 열악한데다 뚜렷한 주거환경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낙후된 지역' 이미지를 벗지 못하고 있어서다.
강북구는 강남3구(서초·강남·송파)와 달리 기본적인 주거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개발·재건축·가로정비 사업이 요구되고 있다. 주민들은 그 누구보다 속도감 있게 개발을 추진할 새 인물을 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옥탑방 한 달 살기'에 나섰던 삼양동 소나무협동마을 재개발 추진이 꼽힌다. 또한 강북구 번동 일대가 오세훈 서울시장의 '모아타운' 1호 시범사업지로 선정된 데 이어 신축·구축 건물이 섞여 재개발이 어려웠던 저층 주거지의 추가 정비 사업 추진 등이 기대감을 얻고 있다.
아울러 부족한 교육 시설 유치 및 골목 통행을 방해할 정도로 만성화된 주차 문제 해소 등이 주민들의 요구 사항으로 언급된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