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2023년 예산 편성을 위한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제도가 대폭 바뀐다.
서울시는 교통, 건강, 환경 등 시민의 관심이 높은 분야에서 시민 제안을 통해 총 500억원 규모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업을 발굴. 내년도 사업 예산으로 편성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시청 전경. [서울=뉴스핌] |
2012년부터 추진해온 시민참여예산 제도는 시민이 직접 사업을 발굴, 제안하고 예산 편성 및 심사, 선정 과정에 참여해 최종 예산을 반영하는 제도이다. 시민들의 체감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했다.
올해 새롭게 시도하는 '기획제안형' 시민참여예산 예산은 총 500억원이다.
지난해 시민들의 제안이 많았던 공원·교통·환경․안전·복지 등 10개 분야에서 시민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중 시민의 관심이 높고 사회의 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와 함께 동행하는 도시 만들기 ▲사회적 약자의 건강한 삶을 배려하는 도시 만들기 ▲시민 일상 속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도시 등 3개를 선정했다.
사업 제안은 서울시민, 서울소재 직장인, 학생, 단체 등이 참여할 수 있으며 제안된 사업은 시민참여예산위원․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시민 투표를 통해 선정한다. 이후 시의회 예산 심의를 거쳐서 사업예산이 확정되면 2023년에 서울시가 사업을 직접 추진할 예정이다.
시민의 삶과 밀접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등 사회적 공감과 합의가 필요한 재정 정책 또는 사업을 선정해 시민 의견을 청취하는 '서울살림 천만의 선택' 사업도 올해부터 추진한다.
접수한 시민 의견은 재정 운영 방향, 주요 사업 추진 등에 활용하는 등 재정 분야 시민 체감도와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와 자치구의 역할도 달라진다. 그 동안 서울시 참여예산제와 25개 자치구 참여예산제는 기능과 역할이 중복되거나 자치구 사업임에도 서울시 재정에 의존해 운영되는 일이 많았다.
올해부터 서울시는 시민의 관심이 높고 사회 약자를 위해 필요한 '광역단위 사회 현안 관련 사업'을, 자치구는 '지역문제 해결 위한 생활밀착형 사업'을 중심으로 기능과 역할을 구분해 운영한다.
시민참여예산 기구의 규모 및 운영 방식도 간소화한다. 지난해 340여명의 시민참여예산위원이 24개 분과회의에 참여했으나 올해는 100명 이내로 구성하고 회의도 안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정진일 시민숙의예산과장은 "일반 시민의 참여와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시민참여예산을 대폭 개선했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통, 건강, 환경 분야 참여예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