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가깝고도 먼 중국] 뉴스핌 기자의 수교 30년 체험기 ① 수교 한주 전 죽의 장막

기사등록 : 2022-08-17 17:4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992년 8월 17일 전세기로 텐진 도착
무엇이 달라졌나, 30년 전 중국 스케치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꼭 30년 전 오늘, 한중 수교 일주일 전인 1992년 8월 17일 한낮. 김포발 아시아나 전세기는 한시간 여 비행 끝에 '죽의 장막' 중국의 텐진(天津) 공항에 착륙했다. 코끝을 자극하는 매캐한 냄새가 이곳이 말로만 듣던 '적성 국가' 중국 땅임을 실감케 했다.  

한국 인천서 수입했다는 연식 20년도 더 돼 보이는 낡은 봉고차가 텐진~베이징간 국도를 질주한다. 차가 워낙 낡은 때문일까, 주행 속도가 시속 60킬로미터 밖에 안되는데도 차가 심하게 요동친다. 당장 문짝이라도 하나 떨어져 나갈 것 처럼 위태 위태하다.

뉴스핌 기자의 1992년 여름 일주간 휴가 목적지는 중국 심장부 수도 베이징과 동북 공업도시 장춘과 백두산, 용정 등 옌벤 자치주, 지안 부근 고구려 유적지, 신의주가 보이는 단동 주변 압록강 일대였다. 기자는 반년 가까운 수속 끝에 용케도 비자격인 '특수 방문증'을 손에 쥐었고 안기부 안보 교육 까지 마친뒤 무사히 수교전 주 1회 운항하던 텐진행 전세기에 탑승할 수 있었다.

텐진~베이징간 지도상의 거리는 약 150킬로미터였는데 봉고차는 세시간 넘게 달린 끝에 베이징 시내 베이징 기차역에 도착했다. 텐진 ~ 베이징 교통은 중국 압축성장의 또다른 상징물이다. 이 구간엔 한중수교 이후에 제대로 된 고속도로가 생겨 자동차로 1시간여 만에 주파할 수 있게 됐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베이징 시내에 있는 베이징 기차역. 2022.08.17 chk@newspim.com

또 서울 올림픽보다 20년 뒤인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중국 최초의 까오티에(高铁,고속철)가 개설돼 천진~베이징간 이동시간은 30분으로 단축됐다. 중국은 첫 고속철 개통의 감격을 당시 원자바오(温家宝) 총리가 직접 시승해 세계 만방에 전했고 당시 국내 매체 중국 특파원이었던 뉴스핌 기자도 시승단에 참가한 바 있다.

1992년 8월 17일 오후 베이징 중심가의 베이징 기차역. 30년전 이날 베이징 기차역 한낮 더위는 시멘트 바닥 복사열까지 더해지면서 한증막 처럼 뜨거웠다. 숨이 턱턱 막혔다. 섭씨 40도를 오르내리는 2022년 여름 처럼 그때도 베이징의 여름은 많이 더웠다. 넓은 광장에는 콩나물 시루같이 사람들이 붐볐다.

역 광장에 들어섰을 때 제일 먼저 붉은 벽돌로 지어진 근대 양식의 낮으막한 베이징 기차역 역사 건물이 눈길을 끌었다. 안내를 맡아준 조선족은 이 베이징 역 역사가 과거 소련이 지어준 건물이라고 소개했다. 고도 성장속에 베이징도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었지만 베이징 역 만큼은 중소 우호의 상징이듯 일부 부대 시설물 외에 큰 변화없이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기차역 역사 건물 하나만 빼놓고는 베이징의 모든 풍경이 달라졌다. 30년 전에는 기차역 광장의 행인 세명 가운데 한명은 상의를 벗어제낀 모습이었다. 당시 안내원은 "세명 중 한명이 웃통을 벗었다(三人行一个人脱上衣)"고 농담을 건넸다. 그로부터 30년 후인 2022년 여름, 무더위가 여전하지만 어쩌다 이곳을 지나칠때 웃통을 벗어제낀 사람을 찾기가 이제는 쉽지 않아졌다.

역 광장을 발디딜 틈 없이 메운 군중들은 보리밭 이삭 바람에 물결치듯 이리 쏠리고 저리 밀리고 하면서 느릿 느릿 매표구로 이동했다. 귀따갑게 듣던 만만디(慢慢地)가 바로 이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광장에서 붐비는 인파를 손짓하면서 동행한 조선족 안내원은 '개혁 개방' 때문에 사람들이 바람이 난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베이징 기차역 발 동북 장춘행 열차의 식당칸 승무원이 '전두환'이라는 한글 성명이 적힌 가방을 곁에 놓고 창밖을 응시하고 있다.   2022.08.17 chk@newspim.com

중국에선 덩샤오핑의 지휘아래 1978년 부터 개혁 개방이 추진됐다. 경제는 두자리 수의 초고속 성장세를 보였다. 초 고속 성장은 물가폭등과 함께 정치 자유화 의식을 고조시켰다. 이 결과 1989년 6.4 천안문 사태가 일어났고 개혁개방 열기도 냉각됐다. 서방 전문가들은 중국 개혁개방 실험이 실패로 끝날 거라며 호들갑을 떨었다.

개혁개방의 지도자 덩샤오핑은 한중 수교의 해인 1992년 춘절(설) 남순강화(남부지역 순시 연설)를 통해 제 2의 개혁개방에 재차 불을 지폈다. 공장 굴뚝에선 다시 연기가 피어오르고 농촌 주민들은 꾸역꾸역 도시로 몰려들었다. 사람들은 만두점포와 국수가게, 요우탸오 같은 길거리 노점을 다시 열었다.

내부 체제를 개혁하고 대외적으로 문호를 여는 개방. 개혁 개방은 한마디로 잘살아 보자는 경제 개발의 구호였다. 중국은 부자가 될수 있다면 공산당만 빼놓고는 뭐든지 다 바꿀수 있다는 기세로 제 2의 개혁개방을 밀어붙였다. 탈냉전 무드가 한몫했지만 역사적인 한중 수교가 이런 시점에서 체결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잠시 기다리게 해놓고 어디론가 모습을 감췄던 조선족 안내원은 한시간만에 장춘행 표를 구해 돌아왔다. 개혁개방 이후 인구이동이 증가하면서 이런 경우 보통은 하루 이틀 광장에서 씨름을 해야 표를 얻을 수 있을까 말까라며 안내원은 젠체 해보였다. 요령 좋은 이 안내원 덕분에 겨우 대합실에 들어갈 수 있었고 두시간 쯤 후 장춘행 잉워(硬卧,여섯칸 짜리 침대칸)에 몸을 실었다.  <② 회에 이어짐>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주중 한국대사관 대회의실에 초대 대사인 노재원 대사부터 역대 대한민국 주중대사 사진이 걸려있다. 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2.08.17 chk@newspim.com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