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유명환 기자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으로 외면 받았던 원전주가 최근 중동과 유럽 국가에서 조 단위 수주 기록하면서 관련 종목이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정책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뚜렷하지만 해당 종목이 실제 매출로 이어기지 전까지는 투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스핌] 유명환 기자 = 2022.08.31 ymh7536@newspim.com |
◆ 원전株 3대장, 한 달 새 두 자릿수 상승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원전 대장주로 꼽히는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최근 한 달간(8월1~30일) 18.13% 상승한 2만 1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기간 원전 설계 업체인 한전기술(14.94%)과 원자로 정비사업을 벌이는 한전KPS(6.93%)도 상승했다. 비에이치아이(22.97%), 보성파워텍(14.60%), 일진파워(11.48%)도 일제히 상승했다. 이들 종목이 상승할 동안 국내 증시는 등락을 거듭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1.00%)와 코스닥(-2.95%)의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원전주의 상승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력공급 이슈가 떠오르면서 중동과 유럽 지역의 전력정책이 바뀜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유럽의회는 7월 원전과 가스를 '녹색분류체계(Taxonomy·택소노미)'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택소노미는 이른바 '녹색금융'으로 불리며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경제활동을 각국 사정에 맞춰 분류한 목록이다. 이 목록에 포함돼야 1조 유로(약 1348조원) 규모의 유로 그린딜 예산이나 녹색 채권을 이들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원전 수입국이 돈을 빌릴 때 이자 등 비용이 싸지면서 재정이 넉넉하지 않은 동유럽 국가들의 원전 사업이 활발해질 수 있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전력 공급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전력 부족이 심각한 독일과 프랑스의 전력 가격은 사상 최대치"라며 "글로벌 탈탄소 기조와 러-우 전쟁으로 촉발된 천연가스 및 석탄의 공급 부족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전력 대란의 핵심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 유럽 국가들의 원전발전소 수주를 검토하고 있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체코는 중부 지역 두코바니에 1000㎿급 원전 1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약 8조원 규모 프로젝트다. 한수원은 오는 11월까지 두코바니 원전 건설 사업제안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폴란드 역시 2043년까지 원전 6기 건설을 추진한다. 약 40조원 규모로 한수원을 비롯한 '팀코리아'가 지난 4월 폴란드 정부에 1000~1600㎿급 1호기 건설에 대한 사업제안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지난 6월 체코와 폴란드를 찾아 원전 업계 관계자들을 면담했다.
신한울 1·2호기 사진(왼쪽 신한울 1호기) [사진=한국수력원자력] 2022.06.09 fedor01@newspim.com |
◆ 13년 만에 중동서 조단위 사업 수주…"추자 모멘텀 기대"
유럽 국가들이 원전 발전소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중동 국가에서 조 단위 수주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은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 건설 사업을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3년 만이다. 한수원의 이번 건설 사업에는 국내 원전 건설 및 기자재 공급사들이 참여하는 만큼 관련 기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원전주의 추가적 강세를 기대한다"며 "지금은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수주 당시 발표 20영업일 전부터 발표 시점까지 원전 관련주가 20~30% 강세였던 흐름과 유사하다"고 밝혔다.
추가 수출 가능성도 상승 모멘텀으로 꼽힌다. 엘다바 원전 수주 과정에서 쌓은 경험을 무기로 추가 사업을 따낼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부도 원전 관련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현 정부는 문재인 정부 5년간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기술력 저하와 더불어 소형 원자로의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잡고 있다. 이를 위해 현 정부는 2030년까지 해외 원전 10기 수출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우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도 투자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정민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의 우호적 정책, 강력한 한미 원자력 기술 동맹, SMR의 확장성, 탈원전 기간에 생존한 기업들의 독과점 구조를 감안하면 그 어느 때보다 국내 원자력 기업들에 우호적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 같은 기대감이 실제 매출 성장으로 확인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책 테마에 따른 단기 주가 급등락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원전 기업들이 가시적인 매출 성장을 단기간에 이룰 수 없는 만큼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ymh753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