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명준 기자 = 서울물연구원은 수도꼭지 잔류염소농도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염소 냄새 제어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시가 개발한 '염소 냄새 제어기술'은 수돗물의 수도관 체류 시간이 길거나, 기온변화 등으로 잔류염소가 감소하는 '잔류염소 취약지역'의 실시간 염소소모량을 계산하여 맞춤형 염소 투입과 제어가 가능하다.
서울물연구원 전경 [사진=서울시] |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이 공급과정 중 수도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염소가 휘발해, 적정 잔류염소 수치에 미달해 수질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염소를 과도하게 투입하면 수돗물의 물 맛을 저해한다.
그동안 시는 수돗물 공급과정 중 다양한 이유로 감소하는 염소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수센터 운영자의 경험에 따라 염소 투입량을 조절해 왔었다. 때문에 정수센터에서 가까운 지역은 염소농도가 높아 염소 냄새가 많이 발생하고, 먼 지역은 염소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서울물연구원에서는 현장 근무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지하지 않고도 항상 일정한 잔류염소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질 빅데이터를 분석해 실시간 염소소모량과 투입량을 계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정수센터와 서울 전역 배급수계통에 설치된 525개의 수질자동측정기를 통해 수온‧잔류염소‧전기전도도(물속의 이온 양) 등의 실시간 수질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지역별 염소소모량을 계산한다. 이를 활용해 서울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염소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서울물연구원은 2017년부터 기술개발연구에 착수해 2018년까지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 공급과정에 시스템을 시범적용했고, 성공적인 운영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 3월부터는 서울 전역에 확대 적용하여 시스템의 효과성을 확인했다.
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우리 연구원에서는 이번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수돗물의 생산부터 공급, 검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며 "향후 서울형 미래 스마트 상수도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Mrnobody@newspim.com